패권청산 외치며 탄생한 국민의당 '계파 정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안철수계·김한길계·천정배계
최고위 '2 vs 3 vs 2'로 구성
공천 등 놓고 계파갈등 가능성
최고위 '2 vs 3 vs 2'로 구성
공천 등 놓고 계파갈등 가능성

국민의당은 현재 당을 총괄할 안철수 상임 공동대표와 당무를 전담할 천정배 공동대표 체제 속에서 김한길 상임 선거대책위원장이 총선의 중심 축 역할을 맡는 구조다. 하지만 두 대표가 2명씩 추천해 선출된 최고위원은 세 사람을 대표로 하는 계파로 나뉘어 있다. 주승용 원내대표는 김한길계에 속한다. 1일 국민의당에 합류한 김성식 최고위원은 안철수계로 분류된다.
ADVERTISEMENT
하지만 야권 일각에선 계파와 패권정치가 싫어서 나왔다는 사람들이 또다시 지분 나눠먹기를 위해 계파부터 만들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안 대표는 지난해 10월 더불어민주당에 당 수권비전위원회 설치를 요구하며 “계파를 떠나 합리적 개혁 의지를 갖춘 인사로 구성하되 당을 지지하는 인사가 아니더라도 당의 혁신과 정치발전에 도움이 된다면 삼고초려를 해서라도 모셔 와야 한다”고 말했다. 천 대표도 지난해 11월 신당 추진회의에서 “친노 독점에서 문재인·안철수·박원순(문·안·박) 세 계파 연합으로 당권을 나누겠다는 정도의 발상으로는 총선 승리를 전혀 기대할 수 없다”며 계파주의 청산을 강조했다.
무엇보다 안 대표가 상임 대표를 맡고 있지만 김한길계와 천정배계가 손을 잡으면 안 대표가 독자적으로 당내 의사결정을 할 수 없다. 때문에 또다시 당내 주도권 확보를 위한 계파 갈등이 시작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은정진 기자 silver@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