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화 국회의장이 어제(16일) 내년 20대 총선 선거구 획정 지연 사태 등과 관련해 입장을 밝힌 가운데 그의 재산에도 관심이 쏠린다.



국회공직자윤리위원회가 지난 3월 공개한 `2015년 고위공직자 정기 재산변동사항`에 따르면 정 의장의 재산은 105억533만원으로 전년보다 2억2,813만원 늘었다.



정 의장의 재산은 본인과 배우자의 명의로 된 오피스텔과 단독주택, 아파트 등 건물과 대지, 임야 등 부동산이 주를 이뤘다.



건물 재산으로는 배우자 명의로 된 11억1,895만원 상당의 부산 동구 소재 빌딩과 본인 명의로 된 54억9,423만원 상당의 부산 동래구 의료시설 등 157억5,279만원으로 신고됐다.



다만 금융기관 채무와 건물 임대보증금 등에 따른 채무로 178억1,901만원이 잡혀있었다.



본인과 배우자가 소유한 토지 재산은 부산시 남구 소재 임야와 동래구 소재 대지 등 59억7625만원으로 나타났고, 예금액은 적금 만기·해약 등에 따라 지난해보다 늘어 62억5,745만원으로 신고됐다.



이밖에 부산컨트리클럽 골프 회원권과 한화리조트 콘도 회원권 등 모두 3억6천만원 수준의 회원권을 보유했다.



자동차는 2013년식 그랜저 등 4대를 보유했다.



한편 정 의장은 어제 국회 접견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박근혜 대통령이 거듭 요구하고 있는 경제활성화법 직권상정 문제와 선거구 획정 등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정 의장은 정개특위 활동 시한을 넘긴 선거구 획정에 대해서는 15일 여야 지도부 협상을 언급하며 "합의안을 만들어내진 못했지만 많은 부분에서 상당히 의견 접근을 이뤘다"며 "더 논의를 진행해 볼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정 의장은 그간 "헌법재판소 결정에 따라 내년에는 선거구 전체가 무효로 되는 만큼 연말까지 선거구 획정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선거구 획정 문제는 직권상정을 검토할 수 있다"고 여러차례 강조해 왔다.



정 의장은 그러나 "의장이 할 수 있는 것이 있고 할 수 없는 것이 있다"며 "의장은 어디까지나 법에 따라 할 수밖에 없다. 국회법상 전시나 사변에 준하는 국가 비상사태의 경우에만 직권상정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정 의장은 "지금 경제 상황을 국가비상사태라고 동의할 수 없다"며 사실상 청와대의 직권상정 요청에 거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정 의장은 또 현기환 청와대 정무수석이 `선거법만 직권상정 한다는 것은 국회의원 밥그릇에만 관심 있는 것`이라고 한 데 대해 "저속하고 합당하지 않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팀]


한국경제TV 핫뉴스
ㆍ피에스타 차오루, “중국 묘족 출신..희귀템이다” (라디오스타)
ㆍ슈가맨 김현성, 세대초월 `동안외모`…마흔 나이에 아이돌 닮은꼴?
ㆍ대학가상가, 광교(경기대)역 `리치프라자3` 투자열기로 후끈!
ㆍ이윤석, 한의사 아내 김수경과 `결혼 7년 만에 득남`…오랜 기다림에 `감격 두배`
ㆍ`현정의 틈` 고현정 일기장, 담담히 적은 글 "2년 전 이혼을 했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