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미국 의 새 일자리 증가가 호조를 보인 데다 전일 실망을 줬던 유럽중앙은행(ECB)의 양적완화 확대에 대한 기대가 다시 부각된 데 따라 상승했다.

4일(미국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69.96포인트(2.12%) 상승한 17,847.63에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42.07포인트(2.05%) 오른 2,091.69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04.74포인트(2.08%) 상승한 5,142.27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소폭 상승 출발한 지수는 장중 꾸준히 상승폭을 확대했다.

고용지표가 호조를 보이면서 미국 경제 회복 기조가 지속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해준 것이 주가 상승을 부추겼다.

마리오 드라기 ECB 총재가 추가적인 양적 완화를 단행할 수 있다고 발언한 것도 지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나스닥의 뮬레스 클러스톤 투자자문 선임 담당자는 "투자자들이 다가오는 12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회의에 주목하는 가운데 고용 지표가 긍정적이었다"며 "드라기 총재의 발언도 흥미로웠고, 시장은 이를 기반으로 상승했다"고 말했다.

업종별로는 유가 하락에 따라 에너지업종이 소폭 하락한 것 외에 전 업종이 일제히 상승했다.

금융업종과 헬스케어업종, 기술업종 등이 2% 이상 강세를 나타냈고, 유틸리티업종과 소재업종, 산업업종도 1% 이상 올랐다.

다우지수 구성종목은 애플과 JP모건,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3% 이상 급등하는 등 전 종목이 상승했다.

지난 11월 미국의 비농업부문 고용은 예상치를 웃도는 증가세를 나타내 연준의 이달 금리 인상을 뒷받침하는 모습을 보였다.

미 노동부는 11월 비농업부문 고용이 21만1천명(계절 조정치)으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이는 마켓워치 조사치 20만명을 웃돈 것이다.

11월 실업률은 전월과 같은 5%로, 애널리스트들의 전망치에 부합했다.

10월 고용은 당초 27만1천명 증가에서 29만8천명 증가로 상향 조정돼 2015년 최대 증가 규모를 기록했다.

9월 고용 역시 13만7천명 증가에서 14만5천명 증가로 상향 수정됐다.

11월 기준으로 지난 3개월 평균 고용은 21만8천명 증가했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소폭 늘어난 것이다.

드라기 총재는 뉴욕 이코노믹크럽 연설에서 "가격 안정성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정책 수단을 강화해야 한다면, (추가적인) 조치에 나설 것이라는 데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말했다.

드라기 총재는 "지금 정책으로 물가 상승률이 2%로 돌아갈 것으로 믿는다"며 "만약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추가적인 수단들을 활용할 것이다"고 재차 강조했다.

지난 10월 미국의 무역적자는 해외 수요 부진에 따른 수출 감소로 예상치를 웃도는 증가세를 보였다.

미 상무부는 10월 무역적자가 전월 대비 3.4% 늘어난 438억9천만달러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이는 마켓워치 조사치 406억달러를 웃돈 것이다.

10월 수출은 전월 대비 1.4% 하락해 3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고 수입은 0.6% 줄어들었다.

올해 들어 10월까지 무역적자는 전세계 경기 둔화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5.3% 늘었다.

같은 기간 수출은 달러화 강세와 해외 경기 둔화로 전년 동기 대비 4.3% 감소했다.

이날 연설에 나선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12월 기준금리 인상을 지지하는 의견을 내놨다.

그는 미국 경제가 "정상화에 가까이 다가가고 있다"며 기준금리 인상이 늦춰지는 것보다 일찌감치 단행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뉴욕유가는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산유량 한도 현행 유지로 하락했다.

OPEC발 악재로 미국의 원유 채굴장비수가 3주 연속 감소세를 나타냈으나 배럴당 40달러 붕괴를 막지 못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월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1.11달러(2.7%) 낮아진 39.97달러에 마쳤다.

유가는 OPEC가 산유량 한도를 상향 조정했다는 보도와 동결했다는 보도가 동시에 나오는 등 혼란스러운 상황이 벌어진 가운데 40달러 아래로 내려앉았다.

유럽의 주요 증시는 ECB의 보수적 양적완화에 대한 실망감이 지속된 가운데 유가 하락과 미국의 금리인상 가능성 증대 여파로 일제히 하락했다.

영국 런던 증시의 FTSE 100 지수는 전날보다 0.59%,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30 지수는 0.34% 하락했다.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 40 지수도 0.33% 떨어졌다.

시카고옵션거래소에서 변동성지수(VIX)는 전일보다 18.22% 하락한 14.81을 기록했다.

(뉴욕연합뉴스) 신은실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esshi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