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7 경남·북 -4 전남·북 -4…농어촌 의원 '선거구 혈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선거구획정위, 지역구 244~249개로…내년 총선 시·도별 지역구 조정 윤곽
경북 2~3석 감소 예상…전남·전북은 1~2곳 씩 줄 듯
충청 변화 없고 강원 1곳 감소
김무성 "비현실적인 안"…여야 농어촌 의원들, 집단 반발
경북 2~3석 감소 예상…전남·전북은 1~2곳 씩 줄 듯
충청 변화 없고 강원 1곳 감소
김무성 "비현실적인 안"…여야 농어촌 의원들, 집단 반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선거구획정위원회가 내년 4월 20대 총선 지역구 수를 244~249개로 정하기로 하면서 시·도별 지역구가 어떻게 조정될지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 지금과 같은 246개와 이보다 3개 많은 249개 가운데 최종안이 나올 것으로 정치권은 내다보고 있다. 어느 경우든 지난해 헌법재판소 결정에 따라 선거구별 인구 편차를 현행 3 대 1에서 2 대 1로 조정하려면 인구 하한에 미달하는 지역은 다른 선거구와 통폐합해야 한다. 인구 하한에 못 미치는 지역이 많은 영·호남과 강원 등은 선거구가 10석 가까이 줄어들고 수도권은 늘어날 전망이다. 지역구를 잃을 위기에 놓인 국회의원들이 거세게 반발해 최종 확정까지 진통이 예상된다.
○농어촌 의석 감소 불가피
현재 15개 선거구가 있는 경북은 적게는 2석, 많게는 3석까지 감소할 수 있다는 것이 대체적인 분석이다. 경북에선 영천, 영주, 상주, 문경·예천, 군위·의성·청송 등 5곳이 획정위가 정한 인구 하한(지난 8월 말 기준 13만9473명)에 미달한다.
경남은 선거구가 16개에서 15개로 줄어들 것으로 점쳐진다. 양산시가 갑·을로 나뉘는 대신 창원시 선거구가 5개에서 4개로 줄고 의령·함안·합천이 쪼개져 산청·함양·거창과 밀양·창녕에 통합될 가능성이 있다.
부산은 전체적으로 18개가 유지될 전망이지만 여권 거물급 정치인들의 선거구가 조정 대상에 올라 있어 관심을 끈다. 정의화 국회의장의 지역구인 부산 중·동과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의 영도구, 유기준 해양수산부 장관의 서구가 인구 하한에 못 미친다. 대구는 동구갑이 인구 하한에 못 미치지만 동구을과 조정을 통해 12개를 유지할 전망이다.
호남에선 광주는 1개, 전남과 전북은 1~2개씩 줄어들 전망이다. 전남은 장흥·강진·영암과 나주·화순을 쪼개 다른 선거구에 붙이고, 전북은 남원·순창과 고창·부안을 다른 선거구에 통합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충북은 보은·옥천·영동이 인구 하한에 못 미치지만 증평·진천·괴산·음성과 조정하면 의석 수를 유지할 수 있다. 충남은 10개가 유지되는 가운데 천안과 아산의 선거구가 하나씩 늘고 부여·청양과 홍성·예산은 다른 선거구에 합쳐질 것으로 관측된다. 강원은 9석에서 8석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경기 7석, 대전도 1석 증가
수도권은 인구 상한을 초과하는 선거구가 많아 서울 1개, 인천 1~2개, 경기 7개 등 9~10개가 늘어날 전망이다. 지역구가 246개 되면 121석, 249개 되면 122석이 수도권 차지가 된다.
서울은 강서구와 강남구가 각각 갑·을에서 갑·을·병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인구 하한에 못 미치는 중구는 성동갑·을에 통합될 것으로 관측된다. 인천은 연수구가 갑·을로 나뉠 것이 유력하다. 경기는 수원, 용인, 남양주, 화성, 군포, 김포, 광주 등의 선거구가 1개씩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대전도 유성구가 갑·을로 나뉠 전망이다.
획정위 안에 대해 정치권은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김무성 대표는 21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지역구 수를 244~249석으로 한 것은 비현실적인 안”이라며 “6개 군이 한 선거구가 되는 곳도 있는데 국회의원이 지역구를 잘 관리하려면 4개 군을 넘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새누리당 15명, 새정치민주연합 10명 등 국회의원 25명으로 구성된 ‘농어촌 지방주권 지키기 의원모임’은 성명을 내고 “지역 대표성을 유지하기 위해 강원, 충남·북, 전남·북, 경남·북에 각각 1석 이상의 특별 선거구를 채택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
현재 15개 선거구가 있는 경북은 적게는 2석, 많게는 3석까지 감소할 수 있다는 것이 대체적인 분석이다. 경북에선 영천, 영주, 상주, 문경·예천, 군위·의성·청송 등 5곳이 획정위가 정한 인구 하한(지난 8월 말 기준 13만9473명)에 미달한다.
경남은 선거구가 16개에서 15개로 줄어들 것으로 점쳐진다. 양산시가 갑·을로 나뉘는 대신 창원시 선거구가 5개에서 4개로 줄고 의령·함안·합천이 쪼개져 산청·함양·거창과 밀양·창녕에 통합될 가능성이 있다.
부산은 전체적으로 18개가 유지될 전망이지만 여권 거물급 정치인들의 선거구가 조정 대상에 올라 있어 관심을 끈다. 정의화 국회의장의 지역구인 부산 중·동과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의 영도구, 유기준 해양수산부 장관의 서구가 인구 하한에 못 미친다. 대구는 동구갑이 인구 하한에 못 미치지만 동구을과 조정을 통해 12개를 유지할 전망이다.
호남에선 광주는 1개, 전남과 전북은 1~2개씩 줄어들 전망이다. 전남은 장흥·강진·영암과 나주·화순을 쪼개 다른 선거구에 붙이고, 전북은 남원·순창과 고창·부안을 다른 선거구에 통합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충북은 보은·옥천·영동이 인구 하한에 못 미치지만 증평·진천·괴산·음성과 조정하면 의석 수를 유지할 수 있다. 충남은 10개가 유지되는 가운데 천안과 아산의 선거구가 하나씩 늘고 부여·청양과 홍성·예산은 다른 선거구에 합쳐질 것으로 관측된다. 강원은 9석에서 8석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경기 7석, 대전도 1석 증가
수도권은 인구 상한을 초과하는 선거구가 많아 서울 1개, 인천 1~2개, 경기 7개 등 9~10개가 늘어날 전망이다. 지역구가 246개 되면 121석, 249개 되면 122석이 수도권 차지가 된다.
서울은 강서구와 강남구가 각각 갑·을에서 갑·을·병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인구 하한에 못 미치는 중구는 성동갑·을에 통합될 것으로 관측된다. 인천은 연수구가 갑·을로 나뉠 것이 유력하다. 경기는 수원, 용인, 남양주, 화성, 군포, 김포, 광주 등의 선거구가 1개씩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대전도 유성구가 갑·을로 나뉠 전망이다.
획정위 안에 대해 정치권은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김무성 대표는 21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지역구 수를 244~249석으로 한 것은 비현실적인 안”이라며 “6개 군이 한 선거구가 되는 곳도 있는데 국회의원이 지역구를 잘 관리하려면 4개 군을 넘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새누리당 15명, 새정치민주연합 10명 등 국회의원 25명으로 구성된 ‘농어촌 지방주권 지키기 의원모임’은 성명을 내고 “지역 대표성을 유지하기 위해 강원, 충남·북, 전남·북, 경남·북에 각각 1석 이상의 특별 선거구를 채택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