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대에서 주력산업에 대한 교육·연구가 후퇴한 배경엔 논문실적 위주의 각종 평가제도가 자리잡고 있다. 정부가 지난해 ‘공대혁신’ 방안을 내놨지만 1년 넘도록 구체적 성과가 없어 용두사미로 끝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대학가에 따르면 서울 주요 사립대에서는 교수의 SCI(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 논문 편수를 늘리기 위해 교수가 SCI 논문 한 편을 낼 때마다 100만~300만원가량을 지급하고 있다.

교수에 대한 당근과 채찍을 논문실적 위주로 하다 보니 별다른 인센티브가 없는 교육은 뒷전으로 밀리고 있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나온다. 김한성 연세대 화공생명공학과장은 “연구비 수주액과 논문 편수가 승진 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에 젊은 교수들도 강의보다는 논문을 써내는 데 치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상황이 이런데도 정부의 ‘공대혁신’구상은 1년이 넘도록 공염불에 그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8월 44개의 ‘공대혁신 이행방안’을 내놨다. 각종 재정지원사업의 평가지표를 논문 대신 산학협력 실적이나 특허 등으로 바꾸고, 산업체 경력 교수를 늘리는 방안이 골자다.

하지만 교육현장에서는 공대혁신이 진행되고 있는지 도무지 체감하지 못하겠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경제신문이 주요 공대 학장 1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6명(60%)이 “공대혁신안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거나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BK플러스 사업은 지난해 논문편수 대신 ‘영향력 지수(IF)’로 평가지표를 바꾸었지만 오히려 개악(改惡)이 됐다는 비판도 적지 않다. 서울대의 한 교수는 “철강같이 IF가 낮은 분야는 차라리 논문을 안 쓰는 게 학교를 도와주는 셈”이라고 개탄했다.

정부가 교수의 평가지표에 ‘산학협력’을 포함하기 위해 추진 중인 교육공무원법 개정안도 감감무소식이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