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4년 18%→작년말 37%…일반직 국가공무원 여성비율 상회

지방자치 20년이 흐르는 동안 자치단체에 근무하는 여성공무원의 비율이 두 배로 늘었다.

23일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작년말 기준 자치단체 소속 공무원(자치경찰, 소방 등 특정직 제외) 중 여성이 36.7%를 차지했다.

지방자치가 전면 시행되기 전 해인 1994년말 기준 여성공무원 비율 18.0%와 비교하면 2배 이상으로 많아졌다.

자치단체 일반직 여성공무원의 비중은 일반직 국가공무원의 여성비율 32.9%보다도 훨씬 높다.

핵심 정책결정 부서로 분류되는 기획·예산·인사·감사부서의 여성 비율도 10년 전 21.3%에서 35.2%로 성장했다.

특히 서울, 부산, 인천 등 대도시에서는 이들 부서의 여성공무원 비율이 40%를 웃돌았다.

자치단체의 3급 이상 간부 공무원 중 여성 비율은 20년 전 0.5%에 불과했으나 작년말 3.7%까지 확대됐다.

여성공무원 비율이 높아지고 사회전반에서 모성보호제도가 강화되는 추세에 따라 자치단체 공직 분위기도 '양성친화형'으로 변모하고 있다고 행자부는 분석했다.

육아휴직 이용률은 10년 전 5.1%에서 10.7%로 높아지고, 이 기간 청사 내 보육시설이 59곳에 89곳으로 늘었다.

고규창 행자부 자치제도정책관은 "자치단체가 양성평등 일터 문화를 선도하도록 수유실 설치 등 시설개선 뿐 아니라 유연근무제 도입 같은 인사제도 변화를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tr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