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상수 국회 기획조정실장(왼쪽)과 안도걸 기획재정부 행정안전예산심의관(왼쪽 영상화면의 오른쪽)이 31일 정부세종청사와 연결된 국회 영상회의실에서 예산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국회 제공
전상수 국회 기획조정실장(왼쪽)과 안도걸 기획재정부 행정안전예산심의관(왼쪽 영상화면의 오른쪽)이 31일 정부세종청사와 연결된 국회 영상회의실에서 예산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국회 제공
국회사무처는 31일 강원 고성군에 건립을 추진 중인 국회 의정연수원 관련 예산을 반영해달라는 내용의 업무협의를 세종시에 있는 기획재정부와 화상으로 진행했다. 한국경제신문이 지난 30일 국회에 설치한 화상회의 시스템 3개의 사용실적이 9개월간 50건에 불과하다는 내용의 단독보도를 낸 지 하루 만에 국회사무처가 화상회의 장면을 언론에 공개하기로 한 것이다.

▶본지 7월30일자 A1면 참조

국회사무처 관계자는 이날 본지 기자를 국회 본청 영상회의실로 초청했다. 국회가 영상회의 사용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서다. 전상수 국회사무처 기획조정실장은 10분간 화상회의 시범을 보인 뒤 “정의화 국회의장이 국회와 떨어져 있는 정부 기관과의 화상회의를 적극 활용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와 정부 산하기관, 공기업 본사 등이 지방으로 이전함에 따라 대면보고 및 회의를 줄일 방법이 절실한 상황이지만 현재 영상회의 시스템 구축은 걸음마 단계다. 전 실장은 “화상회의는 회의하고자 하는 양쪽에 장비와 시스템이 모두 갖춰져야 한다”며 “아직 정부기관이 완벽하게 화상회의 시스템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박종필 기자 j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