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즈번 영국 재무 "EU는 자유무역 단일시장 수준이 바람직"
조지 오즈번 영국 재무장관(사진)이 “유럽연합(EU)은 (통합공동체로서 협력을 확대하기보다) 자유무역을 하는 단일시장 수준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28일(현지시간) 텔레그래프와의 인터뷰에서 말했다. EU 내에서 영국의 자율성을 확대하려는 보수당 정부의 정책 방향을 다시 한번 확인한 것이다.

오즈번 장관은 “EU의 핵심 목적은 경제적 혜택을 얻는 것”이라며 “영국인은 영국이 유럽에 끌려가는 게 아니라 유럽의 일부로 존재하는 걸 원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리스 사태를 통해 유로화가 장기적으로 봤을 때 안정적이고 성공적일 수 없다는 사실이 드러났다”며 “유로존에도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영국은 자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EU협약을 개정하기 위해 다른 회원국을 설득하고 있다. EU 내 이민자가 복지혜택을 신청하려면 4년을 기다리도록 하고, 추가적인 EU 통합조치가 마련된다면 영국은 선택권을 갖는 내용 등이다. 그러나 이는 더욱 통합된 공동체를 추구하는 EU정책과 반대되는 것이어서 독일 등 다른 EU 국가와 갈등을 빚고 있다.

데이비드 캐머런 총리는 협약개정협상 결과를 토대로 2017년까지 영국의 EU 탈퇴(브렉시트) 찬반을 묻는 국민투표를 시행하겠다고 공약했다.

영국 통계청은 이날 2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분기 대비 0.7%(연율 2.6%)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예상치에 부합한 것으로, 지난 1분기의 0.4%보다 성장률이 높아졌다. 경기 회복세가 이어지면서 금리 인상 가능성도 커졌다.

마크 카니 영국 중앙은행(BOE) 총재는 지난 16일 “올해가 바뀔 즈음 기준금리 인상을 결정할 것”이라며 “금리 인상은 단계적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BOE는 2009년 초부터 역대 최저 수준인 연 0.5% 금리를 유지하고 있다.

나수지 기자 suj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