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형 배당주] 세부담 줄고 배당금 늘어난 종목 유망…지금이 투자 적기…지수 편입주 노려라
[연금형 배당주] 세부담 줄고 배당금 늘어난 종목 유망…지금이 투자 적기…지수 편입주 노려라
지난해 7월 정부의 2기 경제팀이 출범했다. 2기 경제팀은 부동산 부양, 증시 활성화를 아우르는 다양한 정책을 내놨다. ‘초이노믹스’로 일컬어진 정책에서 부동산 관련 정책을 제외하면 근로소득 증대세제, 기업소득 환류세제, 배당소득 증대세제로 구성된 가계소득 증대세제 3대 패키지가 핵심이다. 이 중 증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정책은 기업소득 환류세제와 배당소득 증대세제다.

배당 확대에 적극 나선 정부

우선 기업소득 환류세제는 일정 기간 내 투자, 임금, 배당 등으로 사용하지 않는 기업의 유보 이익에 대해 추가로 과세하는 법안이다. 유보금 과세에 대한 유사한 해외 사례로는 대만을 들 수 있는데 과세의 범위와 목적이 한국의 기업소득 환류세제와 비슷하다.

대만에서는 1998년 납입자본금 한도를 벗어난 이익을 유보할 경우 초과 이익금에 대해 추가 법인세를 내도록 만든 제도를 도입했다. 도입 이후 대만 기업들의 배당 증가율이 이익 증가율을 크게 웃돌면서 배당 증대 효과를 가져왔다. 정부의 노림수도 여기에 있었다. 기업소득 환류세제 시행으로 기업들의 배당 증대를 유도하겠다는 의도였다.

배당소득 증대세제(분리과세)도 같은 맥락이다. 배당에 대한 원천세율(현행 14%)을 주주별로 차등화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배당소득에 대한 세 부담이 줄면 고배당주의 투자 매력이 높아진다.

정부 정책에 발맞춰 거래소도 지난해 10월 신(新)배당지수를 발표하며 배당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켰다. 거래소는 신배당지수의 기대효과로 고배당 종목의 주가 재평가 등 상장기업의 배당 확대를 꼽았다. 올해 들어서는 국민연금을 포함한 연기금도 배당주 투자에 열을 올리고 있다.

문제는 기업들의 반응이다. 정부가 아무리 강력한 정책 의지를 갖고 있더라도 배당은 전적으로 기업의 의사 결정에 달린 문제이기 때문이다. 정부의 적극적인 장려에도 기업이 화답하지 않으면 의미가 퇴색된다. 실제로 작년 7월 정책 기대감에 코스피지수가 상승세를 보였지만 이내 제자리를 찾았다. 기업들의 반응을 확인하고자 하는 심리가 반영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정책에 화답하는 기업들

작년 결산 실적과 배당 발표 시기를 지나면서 긍정적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기업들이 배당 증대와 관련된 정부의 정책 메시지에 적극적으로 화답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코스피200 기준으로 전년 대비 주당 배당금이 늘어난 종목의 비율은 55%에 달한다. 이 비율은 2009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었다. 지난해 초 시행된 2013 결산 배당에서는 배당금을 늘린 기업들이 채 25%에도 미치지 못했던 것에 비하면 괄목할 만한 수치다. 그 결과 시장 전체의 배당성향과 배당수익률 또한 2009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정부의 강력한 정책 의지와 기업들의 적극적 화답을 고려할 때 배당은 앞으로도 증대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물론 배당 증대가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니다. 배당은 회사 내부의 투자 재원을 외부로 유출하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성장해야 하는 기업에는 배당 증대가 자칫 독이 될 수 있다. 또 배당은 이중과세 논란(법인세를 낸 뒤의 이익에 대해 시행하는 배당에 대해 소득세가 부과되는 문제)도 피할 수 없어 주주에게 무조건 유리하다고 보기 어렵다.

결국 배당의 유·불리는 자기자본 비용과 자기자본이익률 사이의 관계에 의해 결정된다. 투자를 해서 많은 이익을 낼 수 있다면 배당보다 유보를 택하는 편이 낫다. 그렇지 않다면 배당을 통해 이익을 주주에게 돌려주는 편이 낫다.

그렇다면 현재 한국 증시가 어느 쪽에 가까운지 판단해야 한다. 한국 증시에서는 이익의 유보를 통한 투자가 이익 증가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 즉 개별 기업별로 차이는 있겠지만 전체 증시 측면에서 보면 한국 증시 환경은 ‘과잉 자본’ 상태라고 볼 수 있다. 추가 자본 투입과 이익 증가 사이에서 유의미한 관계가 없어 보인다는 의미다. 이런 환경 아래에서 기업은 이익을 유보하는 것보다 배당을 통해 자본을 줄여주는 쪽이 낫다.

고령화 사회, 안정적인 현금 선호

일본 증시에서 나타난 배당주 투자의 뛰어난 성과에도 주목해야 한다. 일본이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하고 ‘잃어버린 20년’이라 일컬어지는 장기 저성장 국면에 진입한 이후 일본 증시에서는 고배당주지수(MSCI Japan 고배당지수)가 주가지수(MSCI Japan)를 100%포인트 넘게 웃돌았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한국은 2016년을 기점으로 생산가능 인구가 감소세로 진입한다. 고령 인구 증가는 주식시장에서도 안정적 현금 흐름을 선호하는 고령 투자자 확대로 이어진다. 더불어 시중금리가 연 1%대로 진입하면서 은행 예금 외에 안정적 현금 흐름을 줄 수 있는 대안 투자처에 관심이 높아졌다는 점도 배당주에 대한 수요를 높이는 요인이다. 한국 증시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배당주에 대한 뜨거운 관심이 장기 트렌드가 될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

배당은 거시적인 측면 외에 미시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의미를 지닌다. 배당은 속성상 하방 경직성을 내포하고 있다. 일단 한 번 늘린 배당은 줄이기 어렵다. 그렇다면 기업들의 배당 증대는 향후 이익 증가에 대한 자신감을 내포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이를 배당의 정보 효과(signaling effect of dividend policy)라고 일컫는다. 데이터를 분석해 봐도 배당을 늘린 기업이 배당을 유지하거나 줄인 기업에 비해 다음해 이익 증가율이 높다는 결론이 도출된다.

주식이나 펀드로 직·간접 투자

[연금형 배당주] 세부담 줄고 배당금 늘어난 종목 유망…지금이 투자 적기…지수 편입주 노려라
일반적인 주식 투자와 마찬가지로 배당주 투자도 직접투자와 간접투자로 나뉜다.

직접투자는 배당주를 직접 매수하는 방법으로 종목 선정이 가장 중요한 요소다. 주식 투자에 능한 투자자라면 큰 어려움이 없겠지만 그렇지 않은 투자자라면 거래소가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을 참고할 만하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거래소는 지난해 10월 신배당지수 4종을 발표했다. 코스피 고배당지수, KRX 고배당지수(코스닥 종목 포함), 코스피 배당성장지수, 코스피 우선주지수다. 이들 지수에 편입된 종목들은 거래소가 정해놓은 기준에 따라 선정된 것이다. 배당 수익률이 높거나 향후 배당 수익률이 높아질 가능성이 큰 종목들이다. 따라서 이들 지수에 편입된 종목을 중심으로 투자할 배당주를 선정해보는 것도 추천할 만하다.

다만 매년 6월 선물·옵션 만기일마다 지수에 편입되는 종목이 변경된다는 사실을 염두에 둬야 한다. 지수 구성 종목과 구성 종목에 대한 정보는 한국거래소의 신지수 사이트(index.krx.co.kr)에서 얻을 수 있다.

간접투자는 배당주 펀드를 활용하는 방법이 대표적이다. 각 자산운용사별로 수십 종의 배당주 펀드를 출시하고 있다. 펀드 판매사(은행, 증권사 등)에 문의하면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투자에 앞서 해당 펀드가 정말 배당주 펀드 성격에 맞는 종목을 편입하고 있는지 면밀히 따져봐야 한다.

그 밖에 직접투자와 간접투자의 중간 성격을 띠는 상장지수펀드(ETF) 투자도 가능하다. ETF 투자는 개별 종목에 투자하는 데서 오는 위험을 분산하는 동시에 펀드에 비해서는 매매가 간편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고배당주나 관련 펀드 투자로 노후 연금을 받는 것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류주형 < 신한금융투자 투자전략부 수석연구원 Ulrich@shinha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