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정치인들은 갈등을 조정하기는커녕 부추기고 있다.

안성시의원들은 시의회 차원의 반대 조직을 만들었다. 안성시의회는 지난 3월24일 임시회를 열고 ‘고덕~서안성 간 송전선로 건설사업 대책 특별위원회’를 꾸렸다. 여기에는 시의회 의장을 포함해 시의원 9명 전원이 참여했다. 지난 2월 입지선정위원회가 송전선로 경과지 후보안을 만들자 여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이들은 성명서에서 “후보지에서 안성시를 제외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며 “시의회는 모든 요구가 관철될 때까지 역량을 모아 강력히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의회 의원들은 14일 예정됐던 송전선로 건설 반대 궐기대회에도 참여할 예정이었다.

이영찬 의원은 “한전이 추진하는 송전선로 사업은 평택과 동탄 등만 혜택을 누릴 뿐 안성에는 득이 될 게 없다”며 “우리의 행동은 지역이기주의가 아닌 19만 안성 시민을 위한 주장”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일각에선 “안성 전체적으로 보면 주민들의 관심이 적은데 시의회가 설치 반대를 위한 정치적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경기도는 뒤늦게 조정에 나섰다. 박수영 행정 1부지사는 지난 12일 장영근 안성 부시장 등 지역 관계자와 한전·삼성전자 관계자 등과 만났지만 이렇다 할 타협점을 제시하지 못했다. 장 부시장은 삼성전자 측에 안성 제4 일반산업단지에 협력업체를 유치 해달라고 요구했다. 한전에는 “안성 시민이 송전선로 노선을 결정하도록 해달라”고 했다. 받아들이기 힘든 요구를 한 것이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다들 여론의 눈치를 보는 분위기”라며 “관련 논의를 총선 때까지 미뤄주길 원하는 이들도 있다”고 전했다.

마지혜 기자 loo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