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만명의 학생을 대학수학능력시험이라는 하나의 틀에 넣어 변별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대학의 학생 선발권을 확대하는 변화가 필요합니다.”

7일 오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는 과학계 석학 단체인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주최로 ‘문·이과 통합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수학 수능개혁 토론회’가 열렸다. 2018년부터 고교에 도입되는 문·이과 통합 교육에 맞춰 수능시험을 어떻게 바꿀지 대안을 찾기 위해 마련된 자리였다.

이덕환 서강대 교수는 “문·이과 통합 과정의 핵심은 계열 구분 없이 국어 영어 수학 한국사 통합과학 통합사회 등 필수 6개 과목을 가르치는 것”이라며 “이들 과목만으로 대입 수능을 치르면 심각한 학력 저하가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박영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원장, 김명자 전 환경부 장관, 오세정 서울대 교수 등 과학기술계 인사 50여명이 참석해 문·이과 통합 논의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정진수 충북대 교수는 “EBS 교재 내에서만 출제되는 수능은 이미 문제풀이로 대비할 수 있는 시험으로 전락했다”고 지적했다. 김기혁 한국공대학장협의회장(계명대 교수)은 “수능에서 과학·수학 심화 과목을 선택하지 않아 미분·적분조차 모르는 공대 입학생이 늘고 있다”며 “졸업 이수학점이 줄면서 대학에서 고교과정을 다시 가르치는 것도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보완책으로 학생부전형에서 고교생의 심화학습 정도를 평가할 수 있도록 대학에 자율성을 줘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권오현 서울대 입학관리본부장은 “수능만으로는 수험생의 실력을 정확히 알 수 없는 상황”이라며 “학생부전형에서 물리Ⅱ 등 심화 선택교과목 이수 여부와 국제올림피아드 수상경력 등을 반영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오형주/김태훈 기자 oh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