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상 위에 놓인 지구본을 돌릴 때마다 손가락이 간지럽다. 손끝의 감촉이 마음보다 먼저 설렌다. 지축(地軸)의 기울기만큼 23.5도 정도 고개를 젖히고 보는 세상은 어떤 모습일까. 커피 산지를 따라 세계일주를 떠난 선배 커플이 참 부럽다. 편백나무 향기 사업을 접고 더 큰 일을 찾겠다며 지난해 떠난 후배는 지금쯤 어디를 걷고 있을까.

여행이란 생각과 시야를 넓히는 공부의 여정이다. 17~18세기 영국 등 유럽 귀족 자제들이 프랑스와 이탈리아를 돌며 문물을 익히던 그랜드 투어(Grand Tour)도 ‘젊은 날의 긴 여행’을 통해 ‘일생의 지성을 쌓는’ 과정이었다. 토머스 홉스와 존 로크, 애덤 스미스 등 근대 유럽 사상가들이 이를 통해 지식과 지혜를 나눴다. 쥘 베른의 80일간의 세계일주도 마찬가지다. 시계처럼 정확한 영국 신사가 유럽과 아시아, 미주를 돌아오는 여로에서 예상치 못한 난관들을 극복하며 생각의 전환을 이루는 얘기가 아니던가.

글로벌 투자자 짐 로저스는 새로운 투자 대상을 찾기 위해 두 번이나 세계일주에 나섰다. 1994년 펴낸 월가의 전설 세계를 가다는 6대륙 52개국 10만마일을 22개월 동안 모터사이클로 돌아 기네스북에 이름을 올린 얘기다. 1999~2002년에는 부인과 함께 116개국 15만2000마일을 여행해 또 기네스북에 올랐다. 이 때 한국에도 보름이나 머물다 갔다. ‘썰물이 시작되면 누가 알몸으로 수영하고 있는지 알게 된다’ 같은 투자 격언들을 이런 여정에서 체득했다.

요즘은 세계일주 여행객들의 콘셉트가 많이 달라졌다. 음악과 미술 등 특정 문화 장르를 중심으로 하는 ‘예술파’부터 요리, 와인, 커피 등의 ‘먹자파’까지 각양각색이다. 요리 중에서도 빵이나 과자, 아이스크림, 파스타, 해산물 등으로 더 세분화한다. 지역 역시 전 세계를 모두 도는 ‘두루파’와 한 대륙에 집중하거나 강·산맥을 죽 따라가는 ‘집중파’ 등으로 전문화하는 추세다. 나홀로 배낭족은 물론이고 친구나 연인, 가족, 동호회 멤버들과 함께하는 사례도 많다. 허니문 세계일주 또한 인기다.

각 항공사의 세계일주 티켓을 이용하면 여비를 아낄 수 있다. 자전거나 모터사이클로 움직이는 마니아족도 급증하고 있다. 숙소는 잠자리와 음식을 외국인에게 서로 제공하는 카우치서핑(couchsurfing.com)이나 에어비앤비(airbnb.co.kr), 자전거 여행 전용 웜샤워스(warmshowers.org) 등으로 다 해결한다. 참 좋은 세상이다. 나는 지구본만 더 세게 돌리고 있다.

고두현 논설위원 kd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