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삼의 절세GPT>에서는 독자들이 궁금해할 각종 세금 관련 이슈를 세법에 근거해 설명해줍니다. 10회는 우리은행에서 세무 컨설팅과 기업 대상 절세 세미나를 진행하는 호지영 WM영업전략부 세무팀 과장과 함께 종합소득세와 절세 방법에 대해 소개합니다.>가정의 달 5월은 종합소득세(종소세)를 신고해야 하는 기간이기도 하다. 월급 외 부수입을 올리는 직장인이라면 이 기간 누락된 소득은 없는지 절세 방법은 무엇인지 등을 꼼꼼히 따져 신고해야 한다. 세금을 신고하지 않고 넘어가면 납부 세액의 20%에 달하는 '가산세 폭탄'을 맞을 수 있기 때문이다.호지영 과장은 26일 "직장인의 경우 회사에서 2월에 진행하는 연말정산으로 과세 문제가 종결되기 때문에 5월에 별도로 신고해야 하는 종소세를 신경 쓰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내지 않은 세금에 대해선 가산세가 붙는 만큼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수입 있다면 5월 종소세 신고해야종소세는 지난 1년간 경제 활동으로 얻은 소득에 붙는 세금이다. 근로소득세가 월급에서 원천징수되는 직장인은 제외된다. 다만 직장인이어도 근로소득 외 다른 소득이 있다면 다음달까지 종소세를 신고·납부해야 한다. 미신고 시 20%의 가산세가 붙을 뿐만 아니라 미납 일수에 0.022%를 곱한 납부지연가산세도 부과된다. 허위증빙 등 부정행위를 할 경우 가산세가 무신고 납부세액의 40%로 뛴다.사업·임대소득이 있다면 금액과 관계없이 종소세를 신고해야 한다. 소득이 지속적으로 생기면 사업소득으로, 일회성이면 기타소득으로 분류한다. 강연료·원고료 등은 기타소득으로 연 300만원(필요경비 차감)을 넘
길이(전장)가 5m를 훌쩍 넘는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이 인기다. 경기불황 시기에는 경차 등 소형차 수요가 늘어난다는 게 통설이지만, 넓은 실내 공간을 선호하는 현상이 계속되면서 큰 차를 찾는 이들이 여전한 모습이다.26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전장이 5m가 넘는 대형 SUV 신차가 속속 나오고 있다. 6년 만에 완전 변경 모델로 돌아온 현대차 대형 SUV 팰리세이드가 대표적이다. 신형 팰리세이드 전장은 5m가 채 안 됐던 전작 대비 65㎜ 늘어난 5060㎜를 기록했다.크기가 커져 부담스러울 법도 하지만 되레 시장 반응은 뜨겁다. 팰리세이드는 올해 1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80.6% 증가한 1만983대 팔렸다. 현대차는 이달부터 본격적으로 하이브리드 모델 출고를 시작했다. 신형 팰리세이드의 사전 계약 건수 4만5000대 중 하이브리드 비중은 약 70%로, 대기 수요만 1년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미국 풀사이즈 SUV를 제대로 보여주는 '대표적 의전차' 캐딜락 에스컬레이드도 부분 변경 신형 모델 출시 당일에만 3개월치 물량이 완판되며 인기를 입증했다. 롱휠베이스 트림인 ESV 기준 전장이 무려 5790㎜에 달하는 이 차는 쇼퍼드리븐 차로서 엄청난 수요를 증명한 셈이다.신차는 아니지만 BMW X7도 전장이 5180㎜에 달한다. 이 차는 올 1분기 전년 동기 대비 17.9% 증가한 1227대 팔렸다. 전장이 5155㎜가 넘는 기아 카니발 역시 지난해 8만2309대 판매돼 국내 전체 승용차 시장에서 2위를 기록했다. 포드 익스플로러는 전장이 5050㎜로, 올해 1분기에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68% 급증한 931대가 팔렸다.국내 도로 상황이나 주차공간이 대형차 운전에 녹록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5m 넘는 대형 SUV가 여전히 인기인 것은
해외 유망 스타트업이 한국에서 정착하려면 비자 발급이나 세무·회계 규정 등 법적 규제가 큰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전화성 초기투자액셀러레이터협회 회장은 26일 서울창업허브공덕에서 열린 3대 창업관련학회 춘계통합학술대회에서 '한국 스타트업 생태계의 글로벌 인바운드 활성화'에 대한 주제 발표를 통해 "해외 스타트업이 한류 등의 영향으로 한국에서 창업하려는 움직임이 늘고 있지만, 정부 규제가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며 "해외 스타트업 가운데 비자 관련 조건과 세무회계 규정이 복잡하다는 응답이 50%를 차지했다"며 이 같이 설명했다. 전 회장은 "김영삼 정부 시절 경제 성장률이 7%였으나 정부가 바뀔 때마다 1% 포인트씩 하락해 차기 정부는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며 "이런 상황을 방지하려면 혁신 창업이 필요하고 해외 유망 스타트업의 한국 창업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한국에 진출했던 해외 스타트업의 90%가 제도적인 규제 때문에 다시 나가고 있는 실정"이라며 "한국이 단순히 테스트 배드 수준이 아니라 한국이 전 세계 스타트업의 기술 경연의 장이 될 수 있도록 제도적 개선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춘계통합학술대회는 '빅블러(Big Blur) 시대의 창업생태계 : 경계를 허무는 협력과 융합전략'을 주제로 한국창업학회와 한국벤처창업학회, 기업가정신학회 등 3개 학술단체가 마련했다. 3대 창업관련 학회가 공동으로 학술대회를 진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최자영 한국창업학회장은 "빠르게 변화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