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창조경제 구현을 위해 신성장 산업에 100조원 규모의 자금을 지원한다는 방책을 내놨다.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에는 '파이낸스 존'을 설치해 창업·중소기업에 기술금융을 지원한다.

정보통신기술(ICT) 벤처기업이 모여 있는 경기도 판교 지역에 게임산업을 주축으로 한 '창조경제밸리', 서울 테헤란로에는 창업 초기기업 지원 공간인 '하이테크 창업 캠퍼스'를 각각 조성해 기업 창업을 돕는다.

무역·기술 전문인력 육성 등을 통해 올해 내수기업 2400개사를 수출기업으로 전환하고 중소·중견기업의 수출 비중을 올해 35%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미래창조과학부, 산업통상자원부, 방송통신위원회, 금융위원회, 중소기업청 등 5개 부처는 15일 청와대에서 이 같은 내용의 '역동적 혁신경제' 실현을 위한 올해 주요 업무계획을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정부는 기업에 대한 창업→성장→회수→재도전 구조의 창조적 금융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해 올해 창업 부문에서는 성장사다리·모태펀드 등 투자자금을 3조원 지원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한 창조경제혁신센터펀드 6000억원을 조성하기로 했다.

특히 성장 부문에서는 소프트웨어(SW), 콘텐츠, 보건·의료, 문화, 교육, 물류 등 유망서비스업과 스마트자동차, 5세대(G) 이동통신, 지능형반도체, 빅데이터, 착용형 스마트기기 등 미래발전 가능성이 큰 신성장 산업에 100조원 규모의 자금을 공급하는 등 올해 총 180조원의 정책금융을 지원하기로 했다.

회수 단계에서는 중소·벤처기업의 인수합병(M&A)을 활성화하고자 해당 업무에 특화된 증권사를 육성하고, 장외시장인 K-OTC시장의 2부 시장도 3월 개장한다.

지난해 7월 한국거래소에 문을 연 코넥스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현행 3억원 이상인 개인 예탁금 규제도 재검토한다.

창업 실패후 재도전을 활성화하고자 연대보증 면제 범위를 지난해 2월 이전 창업자들로 확대하고 보증심사 우수기업(AA 이상)의 창업자는 연대보증을 자동으로 면제하기로 했다.

향후 5년간 재창업 지원에 1조5000억을 투입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지난해 11월 전북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행사에서 조현상 효성 부사장(왼쪽)이 박근혜 대통령에게 창업보육센터 운영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효성 제공
지난해 11월 전북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행사에서 조현상 효성 부사장(왼쪽)이 박근혜 대통령에게 창업보육센터 운영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효성 제공
한경닷컴 뉴스팀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