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조직개편을 통해 만들어질 대통령 특별보좌관은 정무와 홍보 등 특정 분야에 제한될 것으로 13일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대통령 측근들에게 자리를 만들어주기 위한 특보단을 구성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꼭 필요한 분야에 한해 실제로 역할을 할 수 있는 특보단을 만드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시절부터 ‘작은 청와대’를 강조했던 만큼 특보단의 규모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정무와 홍보 분야의 특보는 새로 생길 가능성이 높다. 여권을 중심으로 정무장관직 부활 및 청와대 홍보 기능 강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많고, 청와대 내에서도 정무와 홍보라인을 보강해야 한다는 지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박 대통령 역시 12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특보단을 구성해 국회와 긴밀하게 소통하면서 정책을 협의하는 구도를 만들고, 청와대에서 무언가를 알리는 부분에 있어서 부족한 부분을 좀 더 효율적으로 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해 정무특보와 홍보특보(언론특보)를 만들겠다는 뜻을 밝혔다. 정무특보에는 중량감 있는 정치인이 내정될 것으로 알려졌다.

경제특보는 신설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이미 경제 분야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상황에서 경제특보를 만들면 오히려 업무에 혼선이 빚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여권 관계자는 “최 부총리와 안종범 경제수석 등 핵심 측근들이 경제라인을 맡고 있어 굳이 특보를 새로 만들 이유가 없다”고 했다. 청와대 경제수석이 정책 관련 수석실을 총괄하는 식의 부분적 조직개편은 가능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경제수석이 정책팀장 역할을 하는 식이다.

경제수석이 정책실장을 겸임하며 경제와 고용복지, 미래전략 등 정책 파트를 총괄하게 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다만 정책실 신설은 현 청와대 조직이 비서실, 국가안보실, 경호실 등 3실 체제로 이뤄진 만큼 조직이 비대화하는 측면이 있다는 반론이 적지 않다.

특보단은 박정희 전 대통령이 1970년 처음 도입했다. 박 전 대통령은 당시 외교와 국방, 문화교육, 정치, 경제, 사회 분야의 특보 9명을 임명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 역시 최대 9명의 특보단을 운영했다. 특보단 신설을 포함한 청와대 조직개편은 취임 2주년을 맞는 다음달에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도병욱 기자 dod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