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조직법 개정에 따라 신설되는 장·차관급은 물론 공석인 청와대 교육문화수석 인선 등 인사 수요가 겹치면서 정치권 일각에서 일부 부처 장관까지 포함한 연말·연초 부분 개각설이 나오고 있다. 여기에다 청와대는 부인하지만 정홍원 국무총리와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 교체설도 끊이지 않고 있다.

당장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처리돼 시행에 들어가는 시점에 맞춰 청와대는 총리실 산하에 신설하는 국민안전처장(장관급)과 인사혁신처장 해양경비안전본부장 중앙소방본부장(이상 차관급) 등 장·차관급 네 자리를 채워야 한다. 시기는 국회에서 논의하는 일정에 따라 유동적이지만 박근혜 대통령이 다자회의 순방을 다녀온 이달 중순 이후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민안전처장으로는 이성호 안전행정부 2차관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방산 비리와 관련, 한 차례 사의를 표명한 이용걸 방위사업청장 교체도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는 분위기다. 이미 3~4명의 후보를 놓고 검증을 벌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주영 해양수산부 장관도 세월호 사고가 마무리되면 물러나겠다는 의사가 여전한 만큼 교체 대상에 오를 수 있다. KB금융의 내분 사태와 관련, 경질설이 불거진 최수현 금융감독원장의 교체설도 금융가에서 다시 나오고 있다.

청와대 내에서는 2개월째 공석인 청와대 교육문화수석 인선도 매듭지어야 한다. 이와 관련, 여권의 한 관계자는 “후보에 오른 대학교수 등 몇몇 인사가 모두 검증에 걸려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교문수석 외에 관광진흥비서관 인사혁신비서관 재난안전비서관 자리도 비어 있다.

여기에다 청와대의 부인에도 불구하고 ‘국민안전 내각’ 출범에 맞춰 정홍원 총리가 교체될 것이라는 소문이 여의도 정치권에서 꾸준히 흘러나온다. 김기춘 실장도 건강 문제 등으로 사의를 표명했다는 확인되지 않은 설이 당 관계자들의 입을 통해 돌아다닌다. 청와대 내부에선 연말에 시급히 처리해야 할 국정 현안이 몰려 있는 상황에서 개각을 검토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게 중론이다.

한 관계자는 “내년도 정부 예산안과 공무원연금 개혁안, 경제활성화 관련 법안 처리만큼 중요하고 시급한 국정 현안이 없다”며 “인사 문제로 시간을 허비할 만큼 여유가 많지 않다”고 말했다.

정종태 기자 jtch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