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중국 전문가들은 2017년 행정장관 선출 방식을 놓고 홍콩에서 벌어지고 있는 ‘우산 혁명’의 배경에는 홍콩 경제의 퇴보가 있다고 진단했다. 1997년 중국에 반환된 이후 상하이나 선전 등 다른 도시들의 발달로 축소된 경제적 영향력에 대한 홍콩인의 불안감이 정치적 사건을 계기로 폭발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강준영 한국외국어대 국제지역대학원 중국학과 교수는 “중국 유학생들이 홍콩에서 일자리를 구하면서 홍콩인들의 실업률이 상승했다”며 “이 때문에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중국 정부에 대한 반감이 누적된 것이 시위의 한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홍콩의 국내총생산(GDP)은 1997년 중국 전체 GDP에서 18%를 차지했지만 지난해엔 이 비율이 3%로 줄었다.

김진호 단국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중국인 부자들의 투자로 홍콩의 부동산 주식 등 자산 가격은 치솟고 있지만, 홍콩 젊은이들은 저임금 주택난에 시달리며 희망을 잃어가고 있다”며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홍콩인을 위한 정치’를 요구하는 것도 이런 이유”라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홍콩 시위의 해결책도 경제 문제 해결에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강 교수는 “시위가 본격화된 후 홍콩 증시가 6% 이상 떨어지는 등 시위가 경제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직장인들이 계속 시위에 합류할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가 섣불리 강제진압과 같은 ‘강수’를 두진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김 교수는 “최근 40권에 달하는 평전을 출간하는 등 덩샤오핑(鄧小平)의 정신을 강조해온 시진핑(習近平) 정부이기 때문에 덩샤오핑의 최대 업적으로 꼽히는 홍콩 문제에는 신중히 접근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서진영 고려대 사회과학연구원장은 “시진핑 정부는 그동안 (관료들의 권력남용 제한 등) 정치개혁 시기를 저울질해 왔는데 홍콩에서의 민주화 바람이 시발점이 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김순신 기자 soonsin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