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에게 기업이 원하는 분야를 훈련시켜 취업과 연계시키는 `장애인 맞춤훈련`제도가 당초 고용환경이 우수한 기업과 연계하려던 취지에서 벗어난 채 운영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주영순 새누리당 의원은 장애인고용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기준 맞춤훈련에 참여한 전체 45개 기업 중 300인 이상 기업이 약 38%인 17개소에 불과하다며 9일 이같이 밝혔다.



공단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맞춤훈련 참여업체 45개 가운데 근로자가 한명뿐인 사업장 3곳을 포함해 10명 미만 사업장이 9곳에 달했다.



또 해당사업에 참여한 기업체수나 장애근로자수 역시 2011년 196개소 777명 참여, 2012년 45개서 217명 참여, 2013년 46개소 285명 참여로 저조했다.



주 의원은 "고용환경이 우수한 기업과 연계를 계획했던 당초 사업의 취지를 몰각한 것"이라고 지적하고 "해당 사업이 장애인 취업의 어려움을 고려한 바람직한 형태의 장애인 고용정책인 만큼 최저임금을 포함한 가장 기본적 근로조건의 보호, 조금 더 나은 고용환경의 기업과의 고용 연계는 장애근로자의 근로생활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근형기자 lgh04@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매직아이` 이효리 "사인회에서 안티팬에게 계란 맞았다" 분노 표출은 어떻게?
ㆍ 허각 정은지 `이제 그만 싸우자` 공감 100% 돌풍··내 사연이 뮤비로?
ㆍ먹기만 했는데 한 달 만에 4인치 감소, 기적의 다이어트 법!!
ㆍ네이마르 잡은 결정적 플라잉 니킥··`수니가` 마녀사냥 희생양되나?
ㆍ가계대출 700조 육박‥넉 달째 사상 최고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