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의 금융 허브’ 홍콩이 기로에 서 있다. 1997년 7월1일 홍콩 주권이 영국에서 중국으로 반환된 이후에도 홍콩은 여전히 금융 허브 지위를 유지했다. 중국 경제의 급성장 덕분에 홍콩이 글로벌 기업에 갖는 전략적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 하지만 최근 분위기가 달라졌다. 홍콩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려는 중국 공산당 지도부와 민주화를 요구하는 홍콩 시민 간 대립이 격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어서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홍콩 반환 후 50년간 유지하기로 했던 ‘일국양제’(一國兩制·한 국가 두 체제)가 흔들릴 경우 홍콩을 아시아 사업의 거점으로 둔 글로벌 금융회사들의 생각도 달라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커지는 '中의 입김'…기로에 선 '아시아 금융허브' 홍콩
○2017년 행정장관 선출 방식 두고 대립

홍콩 반환 17주년 기념일인 지난 1일의 풍경은 홍콩의 현주소를 집약적으로 보여준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평가다. 이날 홍콩에선 중국의 간섭을 규탄하고 민주적 직선제를 통한 지도자(홍콩특별행정구 장관) 선출을 요구하는 시위가 곳곳에서 벌어졌다. 홍콩 반환 이후 최대 규모의 시위로, 약 10만명(경찰 측 추산)이 참석했다.

시위 발단이 된 것은 중국 정부가 지난달 처음으로 발간한 ‘홍콩백서’였다. 국무원 신문판공실이 ‘일국양제:홍콩특별행정구의 실천’이란 제목으로 발간한 이 백서는 “홍콩특별행정구는 법에 의해 고도의 자치를 시행하지만 이에 대해 중앙(본토 정부)이 감독권을 갖는다”며 “일부 홍콩 사람들은 ‘일국양제’의 기본 원칙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앙 정부의 간섭을 받지 않는 완전한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홍콩 내 개혁 인사들을 겨냥한 것이다.

홍콩 민주화 단체 대표들은 ‘센트럴(홍콩의 금융 중심지)을 점령하라’란 이름의 민주화 운동 협의체를 구성해 저항에 나섰다. 이들은 지난달 하순 홍콩 행정장관 선출 방식에 대한 비공식 국민투표까지 시행해 중국 정부를 압박했다. 비록 법적 효력은 없지만 홍콩 전체 인구의 10%가 넘는 80만명이 투표에 참여했고, 다수의 참여자가 자유로운 선거를 통한 지도자 선출을 원한다는 뜻을 밝혔다.

하지만 중국 정부는 직접 투표는 실시하되 별도의 추천위원회를 구성해 후보자를 검증한다는 계획이다. 그리고 행정장관의 주요 덕목으로 ‘애국심’을 제시했다. 홍콩 민주화 인사들은 “중국 정부가 얘기하는 ‘애국심’은 결국 ‘공산당에 대한 충성심’을 뜻하는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홍콩 내 반(反) 중국 감정 고조

홍콩시민과 중국 정부 간의 최근 대립은 직접적으로 선거제도를 둘러싼 것이지만 근저에는 중국 체제하에서의 삶에 대한 홍콩 시민의 불만이 깔려 있다는 분석이다.

FT는 “대다수 홍콩 시민은 중국으로 반환된 뒤 경제 상황이 악화됐다고 느낀다”고 지적했다. 홍콩은 아시아에서 빈부격차가 큰 지역 중 하나로 꼽힌다. 글로벌 투자은행(IB) 등에서 고액 연봉을 받는 사람이 많다 보니 다른 업종에 종사하는 이들의 상대적 박탈감이 클 수밖에 없다.

이런 가운데 최근 몇 년간 중국 본토 자금이 대거 홍콩으로 유입되면서 이 지역 부동산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했다. 그 결과 대다수의 봉급 생활자는 자력으로 내집 마련이 불가능한 상태가 됐다. 중국 본토 소비자의 ‘사재기’로 분유 등과 같은 일부 제품 품귀현상이 종종 발생하는 것도 홍콩 시민의 불만을 증폭시키는 요인이란 분석이다.

○기업활동 제약시 금융허브 위상 흔들

중국 정부가 지난달 ‘홍콩백서’를 발표했을 때 글로벌 금융회사들도 바짝 긴장했다. 홍콩은 ‘세계에서 가장 기업하기 좋은 지역’으로 꼽히는 곳이다. ‘특별행정구’라는 지위 덕분에 중국으로 편입된 이후에도 이런 환경이 유지됐다. 하지만 중국 정부가 홍콩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면 기업 활동은 적잖은 제약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글로벌 기업들은 오히려 중국 정부를 지지하는 모습이다. HSBC와 스탠다드차타드가 최근 중국 정부에 비판적 논조를 가진 신문에 대한 광고 게재를 중단했고, PwC·딜로이트·KPMG·언스트&영 등 글로벌 ‘빅4’ 회계법인이 홍콩 신문에 최근 민주화 운동에 반대하는 광고를 낸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FT는 “홍콩에 있는 대부분의 글로벌 기업은 중국 본토에서의 비즈니스 때문에 중국 정부에 쓴소리를 못하고 있다”며 “하지만 기업활동의 자유를 보장하는 제도적 장치들이 후퇴하고,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면 홍콩을 아시아 지역의 허브로 두고 있는 글로벌 기업들의 생각이 달라질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김동윤 기자 oasis9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