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이동통신설비 업체의 비리 의혹 수사에 착수했다. 이 업체가 기지국 공용화 사업을 사실상 독점하고 있어 민관유착 비리 수사로 확대될 전망이다. 철도설비 납품비리 수사에 이어 서울중앙지검의 두 번째 민관유착 ‘관피아’ 척결 수사다.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4부(부장검사 배종혁)는 18일 서울 송파구 방이동에 있는 공용무선기지국 전문업체 한국전파기지국(주)을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이 회사 경영진이 회삿돈을 횡령한 정황을 잡고 회계장부 등을 확보했다.

검찰은 빼돌린 돈의 흐름을 추적해 경영진이 방송통신위원회를 비롯한 관련 기관을 상대로 로비를 벌였는지 확인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전파기지국은 WCDMA(광대역부호분할다중접속)와 와이파이(WiFi) 등 각종 이동통신서비스에 필요한 시설을 구축하는 회사다. 정부가 정책적으로 지원하는 무선통신 중계망 공용화 사업을 도맡고 있다.

검찰은 이 회사가 사업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대형 이동통신사와 유착했을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다. KT와 SK텔레콤, LG유플러스 출신들이 이 회사 주요 임원을 맡고 있다.

검찰은 압수물 분석을 마치는 대로 임직원들을 불러 조사할 방침이다. 검찰 관계자는 “민관유착 비리 수사의 일환”이라고 말했다.

정소람 기자 r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