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전 동거에 대한 미혼남녀의 신(新) 연애관

/영화 '맛' 포스터
/영화 '맛' 포스터
현대 남녀의 자유롭고 개방적인 연애관 때문일까. 미혼자 과반수가 연인과의 동거에 찬성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결혼정보회사 '듀오'는 3월28일부터 5월8일까지 전국 20~30대 미혼남녀 975명(남성 496명, 여성 479명)을 대상으로 혼전 동거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 결과에 따르면, 연인과 동거를 할 의향이 있는 응답자는 전체 66.2%로 나타났다. 이 중 '기회가 되면 동거한다'는 의견이 37.8%, '결혼 날짜가 잡힌 경우에 동거한다'는 답변이 28.4%다. '동거를 절대 하지 않겠다'는 반대 의견은 33.6%였다.

미혼 절반 이상은 동거의 기능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동거에 '장점(순기능)이 더 많다'는 응답은 59.2%로 '단점(역기능)이 더 많다'는 응답(40.8%)보다 높게 나타났다.

동거의 순기능을 묻자, 남성은 '연인과 매일 함께 살 수 있다(25.4%)', '남녀가 다름을 이해하고 양보를 배운다(22.8%)'를 많이 꼽았다. 여성은 '이혼 예방이 가능(29.0%)', '생활비, 데이트 비용 절약(24.0%)' 등을 동거의 장점이라 생각했다.

반면, 동거의 역기능에 관해서는 부정적 꼬리표 등 '이별 후 피해가 크다(34.9%)'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이어 '임신 등 계획에 없던 돌발 상황 발생(20.3%)', '책임감 없는 교제에 익숙해짐(14.5%)', '타인에게 인정 받지 못하는 결혼 생활과 같다(14.4%)'는 게 단점으로 꼽혔다.

실제 결혼을 약속한 애인이 동거한 경험이 있다면 어떠할까? 대부분이 불편하다는 입장이다.

남성 38.9%는 '언짢고 내키지 않으나 결혼은 한다'고 답했고, 여성 35.9%는 '파혼을 진지하게 고민한다'고 했다. '절대 결혼하지 않겠다'는 답변은 전체의 15.5%를 차지했다.

한편, 실질적인 사실혼 관계로 봐야 할 남녀 동거 기간은 '약 1년 이상(20.7%)'이라는 의견이 가장 많다. 다음으로 '약 6개월 이상(19.2%)', '약 3년 이상(16.6%)'이 뒤를 이었으며, '동거한 순간부터 사실혼'이라는 답변은 14.9%로 나타났다. '동거와 사실혼이 별개'라는 응답은 10.7%에 불과했다.

김승호 듀오 홍보 팀장은 "형식에 얽매이거나 남에게 구속되길 거부하는 젊은이들의 세태에 따라 혼전 동거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완화된 게 사실"이라며, "주체적인 자유 연애를 지향하는 것은 좋지만, 선택에는 항상 책임이 따르므로 어떠한 결정이든 주변의 조언과 예상치 못한 변수를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뉴스팀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