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 다시 간 朴 "무한 책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마지막까지 최선 다해 구조…책임 못다한 사람 엄중 문책"
박근혜 대통령(사진)은 세월호 침몰 사고 발생 19일째인 지난 4일 전남 진도군 팽목항을 찾아 실종자 가족을 위로하고, 침몰 현장에서 잠수사들을 격려했다. 사고 다음날인 지난달 17일 팽목항을 찾은 이후 두 번째로 사고 현장을 방문한 것이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후 팽목항에 설치된 가족대책본부 천막에서 실종자 가족 50여명과 약 30분 동안 대화를 나눴다. 가족들은 박 대통령에게 실종자 수색작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고, 이와 관련한 요구사항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 대통령은 “(실종자 가족들은) 살이 타들어 가는 듯한 심정일 것 같다”며 “여러분의 심정이 어떠실지 생각하면 가슴이 미어지고 눈앞이…”라고 말을 잇지 못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가족을 잃은 슬픔을 겪어봐서 잘 알고 있다”며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해 구조작업을 진행하겠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그러면서 “사고 발생부터 수습까지 무한한 책임을 느낀다”고 했다. 한 실종자 가족이 격앙된 목소리로 “이주영 해양수산부 장관은 어떻게 하실 거냐”고 묻자 “사고에 책임 있는 사람과 죄를 지은 사람을 철저히 밝혀서 엄벌에 처하고, 정부 관계자도 책임을 못다한 사람은 엄중 문책하겠다”고 답했다.
박 대통령은 천막에서 나온 뒤 시신확인소로 이동해 시신확인 과정도 점검했다. 박 대통령은 이곳에서 국립과학수사연구소 관계자에게 “시신 확인에 최선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해경 함정을 타고 세월호 침몰 지역으로 이동했다. 박 대통령은 실종자 수색작업을 벌이고 있는 바지선에 옮겨타 잠수사들을 격려했다. 박 대통령은 “실종자 가족들에겐 (잠수사들이) 마지막 희망”이라며 “마지막까지 수고해 달라”고 격려했다. 이어 “여러분의 헌신을 결코 잊지 않겠다”며 “여러분의 헌신에 국민 모두가 감사를 드리고 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안산 단원고 교장과 교사들을 차례로 만나 위로했고, 다시 한 실종자 가족에게 다가가 두 손을 잡고 이야기를 나누면서 눈시울을 적셨다고 참석자들은 전했다.
박 대통령이 무한책임을 언급한 것은 “청와대가 책임을 회피하려 한다”는 비판 여론을 의식한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도병욱 기자 dodo@hankyung.com
박 대통령은 이날 오후 팽목항에 설치된 가족대책본부 천막에서 실종자 가족 50여명과 약 30분 동안 대화를 나눴다. 가족들은 박 대통령에게 실종자 수색작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고, 이와 관련한 요구사항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 대통령은 “(실종자 가족들은) 살이 타들어 가는 듯한 심정일 것 같다”며 “여러분의 심정이 어떠실지 생각하면 가슴이 미어지고 눈앞이…”라고 말을 잇지 못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가족을 잃은 슬픔을 겪어봐서 잘 알고 있다”며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해 구조작업을 진행하겠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그러면서 “사고 발생부터 수습까지 무한한 책임을 느낀다”고 했다. 한 실종자 가족이 격앙된 목소리로 “이주영 해양수산부 장관은 어떻게 하실 거냐”고 묻자 “사고에 책임 있는 사람과 죄를 지은 사람을 철저히 밝혀서 엄벌에 처하고, 정부 관계자도 책임을 못다한 사람은 엄중 문책하겠다”고 답했다.
박 대통령은 천막에서 나온 뒤 시신확인소로 이동해 시신확인 과정도 점검했다. 박 대통령은 이곳에서 국립과학수사연구소 관계자에게 “시신 확인에 최선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해경 함정을 타고 세월호 침몰 지역으로 이동했다. 박 대통령은 실종자 수색작업을 벌이고 있는 바지선에 옮겨타 잠수사들을 격려했다. 박 대통령은 “실종자 가족들에겐 (잠수사들이) 마지막 희망”이라며 “마지막까지 수고해 달라”고 격려했다. 이어 “여러분의 헌신을 결코 잊지 않겠다”며 “여러분의 헌신에 국민 모두가 감사를 드리고 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안산 단원고 교장과 교사들을 차례로 만나 위로했고, 다시 한 실종자 가족에게 다가가 두 손을 잡고 이야기를 나누면서 눈시울을 적셨다고 참석자들은 전했다.
박 대통령이 무한책임을 언급한 것은 “청와대가 책임을 회피하려 한다”는 비판 여론을 의식한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도병욱 기자 dod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