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홍원 국무총리가 27일 세월호 참사에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하면서 사고 발생 후 목소리를 낮춰온 정치권도 사태 수습에 본격적으로 뛰어드는 양상이다.

실종자 구조 작업이 아직 진행 중인 점을 고려한 듯 여야 모두 정면 충돌은 피하고 있지만, 각각 이번 사태의 수습책을 하나둘씩 가시적으로 내놓기 시작하고 있다.

이와 맞물려 한달 여 앞으로 다가온 6·4 지방선거를 앞두고 정국의 유동성도 커짐에 따라 정치권은 국가 재난상황에서 선거전략의 기조를 어떻게 잡아야 하는지에 대한 어려운 숙제도 안게 됐다.

여권에서는 정 총리가 이날 긴급 기자회견을 통해 전격적으로 사퇴 의사를 표명했다.

정 총리는 회견에 앞서 박근혜 대통령에게 사의를 전달했으며, 박 대통령은 정 총리의 사의를 수용하면서도 사표 수리 시기는 사고 수습 이후로 일단 미뤘다.

정 총리의 사의 표명을 계기로 개각설에도 힘이 실리면서 추후 개각의 폭과 시기는 물론 내각 총사퇴 가능성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여권 내부에서는 일단 이번 참사가 외형적으로 수습되는 대로 사고 대응 과정에서 구설에 올랐던 장관은 물론, 기존에 교체 대상으로 거론됐던 국무위원들도 물러나야 한다는 여론이 많다.

중폭 이상의 개각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다만 개각 시점에 대해선 6·4 지방선거 이후가 적절하다는 '2단계 개각론'과 선거 전 단행해 민심 이반을 수습해야 한다는 의견이 맞서는 것으로 알려졌다.

새누리당은 정부의 미숙한 사고 대응에 대한 비판 여론이 거센 만큼 정 총리의 사퇴를 불가피한 것으로 받아들이면서 사고 수습에 진력할 것을 다짐했다.

그러나 새누리당은 정 총리의 사퇴만으로는 민심을 달랠 수 없다는 판단 아래 마지막까지 구조 작업 지원에 진력하고 책임자 규명과 재발방지책 마련에 힘을 쏟는다는 방침이다.

최경환 원내대표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내각을 총괄하는 총리로서 책임을 져야 할 사안"이라며 "총리의 진퇴도 중요하지만, 더 시급한 것은 사고 현장 수습으로, 정부는 흔들림 없이 사고 수습에 매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정 총리의 사퇴를 '국면전환용'으로 규정하고 이번 사고와 관련해 박 대통령의 공식 사과를 요구하고 나서는 등 여권을 압박했다.

특히 사고 이후 외부 일정을 자제하고 말도 아껴온 안철수·김한길 공동대표가 직접 기자회견을 열고 대여 공세에 시동을 걸었다.

안 대표는 회견에서 "이 시점에서 내각의 수장인 총리가 홀로 사퇴를 선언한 것은 지극히 무책임한 자세며 비겁한 회피"라며 "국정 최고 책임자인 대통령의 반성과 사과가 있었어야 한다"며 박 대통령의 사과를 거듭 요청했다.

안 대표는 또 "국회가 몇 달이라도 밤을 새워 나라의 근본을 바로 세워야 한다"며 연말까지 상시국회를 열자고 제안했다.

김 대표는 "구조와 수습이 한창 진행 중인 이 시점에 총리가 자리를 비우는 게 과연 국민에게 진정으로 책임지는 자세인지 저는 동의할 수 없다"고 말했다.

새정치연합 내부에서는 내각 총사퇴를 요구하는 의견과 국회 국정조사를 해야 한다는 제안 등 강경론도 적지 않았지만, 자칫 '정쟁' 유발로 비칠 가능성을 경계해 이날 공동대표 회견에는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