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의진 의원 "국민 건강·안전 위해 대책 필요"

미세먼지에 이어 봄철 황사 주의보가 내려진 가운데 가짜 황사 마스크가 시중에 나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반마스크와는 달리 입자가 매우 작은 황사와 미세먼지를 걸러낼 수 있도록 보건당국이 정한 기준을 통과해야만 '황사 마스크'란 타이틀을 달고 유통될 수 있다.

2014년 현재 황사 마스크로 허가받은 제품은 총 31개다.

1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신의진 의원(새누리당)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황사 마스크 집중 점검'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2011년부터 2014년 1월 현재까지 불법 황사 마스크로 적발된 건수는 115건에 달했다.

불법 황사 마스크 적발 건수는 해마다 늘고 있다.

2011년 3건에 그쳤으나 2013년 66건으로 껑충 뛴 데 이어, 올해 1월에만 벌써 44건의 위반사례가 적발됐다.

적발 유형은 허위 과대광고가 99건으로 가장 많았고, 표시기재위반 6건, 무허가 제조·수입·판매 3건 등의 순이었다.

실제로 올해 1월 식약처는 유명 인터넷 쇼핑몰에서 일반마스크를 황사 마스크로 광고해 팔던 업체들을 적발해 시정지시를 내렸다.

지난해 12월에는 모 대형 프렌차이즈 문구점이 일반 마스크에 '황사 및 감기예방' 등의 표현을 사용하면서 황사 마스크로 오인할 수 있게 표시하다가 형사고발을 당했다.

신 의원은 "황사 마스크는 국민 건강과 안전에 직결되는 만큼 불법업체와 제품에 대한 철저한 단속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 sh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