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방부, “북의 도발에 단호하게 응징” > 북한이 해상사격 훈련 중 발사한 수백발의 포탄 중 일부가 북방한계선(NLL) 남쪽 해상으로 떨어진 것으로 확인된 31일 오후, 국방부에서 김민석 대변인이 브리핑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 국방부, “북의 도발에 단호하게 응징” > 북한이 해상사격 훈련 중 발사한 수백발의 포탄 중 일부가 북방한계선(NLL) 남쪽 해상으로 떨어진 것으로 확인된 31일 오후, 국방부에서 김민석 대변인이 브리핑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31일 북한이 서해 해상사격구역 설정사실을 우리 측에 통보한 지 4시간15분 만에 대규모 포 사격을 가하면서 군 당국도 긴박하게 움직였다.

북한은 이날 오전 8시께 서남전선사령부 이름으로 우리 해군 2함대에 보낸 전화통지문을 통해 서해 북방한계선(NLL) 이북 해상 7곳에 사격구역을 설정하고 사격훈련을 할 것이라고 통보했다.

우리 군은 즉각 백령도에 설치된 포사격 음향탐지장비 '할로', 백령도와 연평도에 각각 배치된 신형 대포병탐지레이더 '아서' 등을 가동해 북한군의 동향을 정밀 감시에 돌입했다.

특히 공군의 대북 정찰기 RF-4와 지상감시레이더, 지상관측장비를 총가동해 NLL 인근 북측 지역의 해안절벽 동굴 속의 해안포진지를 주시했다.

이어 오전 9시30분께부터 장산곶, 강령반도 일대의 모든 해안포진지 병력 움직임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해상사격을 위해 북한군 포병 병력이 배치되고 해안포의 포문이 열리는 등의 동향도 포착됐다.

이에 따라 합동참모본부와 국방부 위기조치반이 본격적으로 가동됐고, 주요 지휘관들은 합참 신청사 지하에 있는 군사지휘본부로 이동했다.

북한은 낮 12시15분부터 해안포 포문을 모두 열고 오후 3시30분까지 7개 해역에서 8차에 걸쳐 NLL 이북 해상으로 해안포와 122㎜ 방사포 등 500여 발을 일제히 발사했다.

장산곶과 옹진반도, 강령반도의 해안가를 비롯한 서해 기린도 등에는 사거리 27km의 130mm 해안포, 사거리 12km의 76.2mm 해안포 등이 900여 문 배치되어 있다.

최근에는 사거리 20㎞의 122㎜ 방사포까지 추가 배치했다.

합참은 서북도서방위사령부를 경유해 백령도와 연평도의 해병부대에 주민 긴급 대피령을 하달했다.

북한의 해안포가 주민 거주지역으로 떨어져 발생할 수 있는 인명 피해에 대비한 조치였다.

해병대 백령·연평부대는 낮 12시40분께 안내방송을 내보내 주민들을 대피소로 이동시켰다.

주민 대부분은 해병대원과 면사무소 직원들의 통제에 따라 집 주변 대피소로 이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은 서북도서 해상에서 조업 중이던 어선도 모두 복귀토록 조치했다.

북한이 발사한 해안포와 방사포 500여발 중 100여발이 백령도 인근 NLL 이남 최대 3.6㎞ 해상까지 떨어지자 서북도서방위사령부는 즉각 해병부대에 대응사격을 명령했다.

해군 전술지휘통제체계(KNTDS)와 아서 대포병레이더 등에 나타난 포탄 궤적을 분석하고 해병부대의 육안 관측 등을 토대로 해안포탄이 NLL 남측 해상으로 떨어진 것을 확인한 다음 취한 조치였다.

해병부대는 사거리 40㎞의 K-9 자주포 300여 발로 대응 포격을 가했다.

K-9 자주포탄은 NLL 이북 수역에 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군은 2010년 11월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때도 K-9 자주포로 대응 사격을 가했다.

우리 군은 이날 NLL 이남 해상에 떨어진 북한 포탄 수의 3배 이상의 대응포격을 했다.

북한의 포탄이 백령도로 떨어질 가능성에 대비해 대구기지에서 F-15K 전투기를 즉각 출격시켜 NLL 이남 해상에서 초계비행을 하도록 조치했다.

NLL 남쪽 해상에 배치한 유도탄고속함과 한국형 구축함 등 해상 전력도 비상 상황에 대비해 평소 초계활동 구역보다 북상 조치된 것으로 알려졌다.

군의 한 관계자는 "군사분계선(MDL)인 육군부대에서도 포병 전력을 대기시키고 지휘관과 위기조치반 등이 비상근무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면서 "특히 북한이 NLL 인근 해상 7곳에 사격구역을 설정했기 때문에 추가 포 사격에 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