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28일 관보에 공개한 2014 정기재산변동 내역을 보면 행정부 고위공직자의 지난해 말 기준 재산은 평균 11억9800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1년 전과 비교하면 2800만원 늘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의 공개 대상은 국가 정무직, 고위공무원단 가등급, 국립대학총장, 공직유관단체 임원, 기초·광역 지방자치단체장, 광역의회의원, 시·도교육감 등 총 1868명이다.

지난해 개별공시지가는 3.41%, 개별단독주택 공시가격은 2.5%가 상승했다. 다만 아파트 공시가격은 4.1%나 하락해 아파트만 보유한 고위공직자의 부동산 자산가치는 하락했다.

행정부 고위공직자의 40%는 재산 신고액이 10억원 이상이었고, 50억원 이상 자산가는 2.5%로 나타났다.

올해 공개 대상자 1868명 중 17.0%인 318명은 1년만에 재산을 1억원 이상 불렸다.

특히 박근혜 대통령은 재산이 2억7000만원 넘게 증가했다. 안행부 관계자는 "대통령의 신고 내용을 보면 급여 저축과 인세수입으로 재산이 늘어났다"고 말했다.

반면 정홍원 총리와 장관급 인사들은 재산에 거의 변함이 없거나 약간 감소했다. 정 총리의 재산은 240만원이 늘어 18억8000만원이었고, 장관급 인사 24명의 평균재산은 1년 전에 비해 약 6000만원이 감소한 15억9000만원으로 집계됐다.

박원순 서울시장과 문용린 서울시교육감은 재산이 각각 9100만원과 7800만원 감소했다. 특히 박원순 서울시장은 2년 연속으로 재산이 감소, 빚이 재산보다 6억9000만원이나 더 많았다.

지난해 중앙정부와 자치단체에서 재산이 가장 많이 늘어난 인사는 최호정 서울시의원과 장호진 외교부 장관특별보좌으로 각각 80억3000만원과 78억3000만원이 늘었다.

가족 재산을 고지거부한 기간이 만료돼 갱신을 해야 하는데도 이를 놓쳐 부모 재산이 합산됐기 때문이다.

자치단체 공직자 중에서는 235억1000만원을 신고한 진태구 충남태안군수가 최고를 기록했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