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우리은행의 효율적인 매각을 위해 다수의 입찰자에게 원하는 만큼의 지분을 파는 방안이 대안으로 제시됐습니다. 다만 투자자들을 끌어들일 수 있는 인센티브가 더해져야 한다는 부분이 전제 요건이었습니다. 보도에 김정필 기자입니다.



<기자>

전문가들은 우리은행 민영화의 현실적인 방법을 찾으려면 일괄매각과 분산매각의 장점을 절충하는 것이 대안이라고 견해를 같이했습니다.



그동안 조기민영화, 공적자금회수 극대화, 금융산업 발전 등 민영화 3대 원칙을 맞추기 위해 일괄매각을 진행해 왔지만 되레 이것이 족쇄가 돼 3차례나 무산됐다는 판단에서입니다.



우리은행 민영화 주제 발표자로 나선 김우진 금융연구원 실장은 일괄과 분산매각을 절충해 단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희망수량 경쟁입찰’을 제안했습니다.



<인터뷰> 김우진 금융연구원 금융산업연구실장

“희망수량 경쟁입찰의 가장 큰 장점은 민영화 원칙 크게 훼손하지 않으면서 SI와 FI등 이해관계가 다른 여러 투자자를 동시에 수용해 한꺼 번에 입찰 진행할 수 있다는 것”



이 방식은 입찰 참가자가 희망가격과 수량을 써내고 매각 수량에 도달할 때까지 최고 가격을 써낸 입찰자부터 낙찰자로 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우리은행을 인수하려면 최소 3조에서 최대 7조가 드는 만큼 선뜻 인수에 나서기가 쉽지 않은 점을 감안해 유효경쟁 요건을 성립시키려면 이 방식이 효율적이라는 것입니다.



참석한 교수 등 전문가들 역시 5∼10% 지분을 보유한 여러 과점주주를 만드는 이 방식이 매각 가능성을 높이고 경영감시와 견제 기능을 가능케 한다며 지지했습니다.



다만 희망수량 경쟁입찰시 잠재 인수자들을 유도할 콜옵션 부여 등 인센티브가 필요하고 정부의 잔여지분 매각 일정 등을 명확히 해야 한다는 점은 분명히 했습니다.



공자위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는 만큼 ‘희망수량 경쟁입찰’이 확정된 것은 아니라고 선을 그으면서도 각종 걸림돌에도 불구하고 4번째 민영화는 성사될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



<인터뷰> 박상용 공자위원장

“그동안 지방은행 매각, 증권 계열사 매각, 여러 우여곡절이 있었고 조세특례제한법 개정 등 남은 이슈가 있기는 하지만 민영화 잘 마무리 될 것으로 본다”



한편 은행 담당 애널리스트들은 분산매각시 물량만 다 해소되면 오버행 이슈가 사라질 수 있고 계열과 분리된 우리은행 자체로만 평가 받을 수 있어 주가 측면에서 나쁠 것이 없다고 분석했습니다.



한국경제TV 김정필입니다.


김정필기자 jpkim@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타일러 권-제시카 비밀연애? SM도 몰라?··`라디오스타` 규현 "보도 보고 알아"
ㆍ`롤점검` 리그오브레전드 `팀모드` 업데이트··또 달라지는 것들은?
ㆍ아무리먹어도 날씬한여성! 알고보니
ㆍ`황제노역` 허재호 결국 노역 중단··남은 벌금 224억원 어떻게?
ㆍ1인당 국민소득 2만6,205달러...지난해 성장률 3.0%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