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우리금융지주 민영화의 마지막 난제인 우리은행 매각과 관련해 지분 분산 매각 방식 추진 쪽에 무게를 싣고 있습니다.



26일 금융투자업계와 전문가 등에 따르면 정부는 우리은행 지분 매각 방안으로 `희망 수량 경쟁입찰` 매각 방식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희망수량 경쟁입찰` 매각방식은 정부가 정해 놓은 희망 매각가격과 매각 지분에 맞는 가격과 매수량을 써낸 입찰자 모두에 지분을 쪼개 파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을 추진할 경우 경쟁입찰 요건을 갖추면서 정부가 보유한 우리은행 지분을 최대한 많이 팔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원칙에 충실할 수 있다는 점 때문입니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오늘 오후 우리은행 매각 방식을 확정하기 위해 `바람직한 우리은행 민영화 방안`에 대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할 예정인 가운데 지분 분산 매각과 관련한 찬반 공방이 오고 갈 전망입니다.







이번 정책토론회에는 윤창현 금융연구원장, 박상용 공자위원장, 김우진 금융연구원 실장, 김동원 고대 초빙교수, 김상조 엄영호 교수, 주재성 우리금융경영연구소 대표 등이 참석합니다.



정부가 분산매각에 무게를 두는 가운데 지분 분산매각에 대한 반대의 시각도 적지 않습니다.



윤석헌 숭실대 교수는 우리은행 민영화와 관련해 “PEF에도 기회는 줘야된다고 본다”며 “작년에 발표한 스케줄을 맞추려면 지분매각 조금씩 해서는 그게 가능성이 높다고 보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국내 PEF도 있고 나름 컨소시엄 구성도 있고 현행법과 령으로 허용된 범위 내에서는 누구도 사전적으로 그걸 제거할 필요는 없고 다 오픈해서 경영을 누가 잘 할것이냐는 공자위가 판단해서 결정하면 되는 것 아닌가”라고 밝혔습니다.


김정필기자 jpkim@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벨로체 `그런 여자`, 브로 `그런 남자` 정면 디스··"김태희 찾으면 우크라이나로"
ㆍ`아반떼HD 급발진 영상` 급발진 논란 재점화··원인 규명되나?
ㆍ아무리먹어도 날씬한여성! 알고보니
ㆍ`SKT 보상금 조회` 보상금액 `빈축`··85요금제가 2300원
ㆍ1인당 국민소득 2만6,205달러...지난해 성장률 3.0%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