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ICT 융합정책 포럼, 대성황 … "ICT와 융합산업, 정책을 한 눈에"
창조경제의 새로운 가치로 평가받고 있는 정보통신기술(ICT)과 융합 산업, 정부정책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지식향연이 20일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미래창조과학부가 주최하고 대전테크노파크와 한경닷컴이 주관한 '2014 ICT 융합정책 포럼'은 19일부터 이날까지 이틀 간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렸다. 정부와 민간이 ICT 정보를 교류하고, 정부 전문가들이 올해 주요 추진사업을 소개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포럼에는 각 중앙부처와 광역자치단체, 공공기관정보화 책임자, 대전지역 IT·소프트웨어 기업 관계자 등 500여명이 몰려 뜨거운 열기를 뿜어냈다.

포럼 첫 날에는 산업통상자원부 정만기 실장이 스페셜 스피치를 통해 '창조경제 산업엔진 창출전략'을 제시했다. 정 실장은 "산업기술 연구·개발(R&D)을 4대 분야, 15개 프로젝트 중심으로 중점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안전행정부 구만섭 총괄과장은 "'정부3.0' 시대에 맞춰 정보를 개방하고 공유해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공언했다. 미래창조과학부 강성주 국장은 창업과 소프트웨어(SW), 콘텐츠 등을 집중 육성해 새로운 산업 분야를 만들어내겠다고 강조했다.

둘째 날에도 ICT 융합에 대한 전문가들의 강연과 논의가 이어졌다.

한국정보화진흥원 금봉수 정보화기획본부장은 "모든 세상이 연결돼 언제 어디서나 접속하고, 정보를 축적·공유할 수 있는 '초연결사회'가 도래하고 있다"며 "센서(Sensor)와 디바이스(Devic), 모바일(Mobile), 데이터(Data) 등 4가지 핵심 트렌드를 짚어볼 것"을 권했다.

한국마이크로소프트(MS), 한국 오라클 등 유망 IT 기업의 전문가들도 대거 출동했다. MS 신종회 박사는 '사이버 테러가 왜 방송사와 금융사를 묶어 공격했는가', '최근 카드사와 통신사의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왜 일어났는가' 등 실제 사례를 짚어본 후 대응방안을 함께 제시했다.

오라클 현은석 상무는 공공 데이터를 벤처기업들이 활용하는 사례 등을 짚었다. 파이어아이 윤삼수 전무는 최근 개인정보 유출 사건 등을 언급하며 정부·공공 기관의 보안강화 방법 등을 소개했다.

포럼 행사장 앞에서는 인텔코리아, 한국 HP 등 IT 기업들이 총 24개 부스를 꾸리고, 올해 주력 상품과 기술을 대거 선보이기도 했다.

인텔코리아 백남기 이사는 "정부의 절전 캠페인에 따라 올해에는 소비전력이 10분의 1로 줄어든 하드디스크 등을 주력 제품으로 내세울 계획"이라고 말했다.

포시에스 조재경 솔루션사업본부 영업1팀 부장은 "전자문서 시장이 커지고 있는 만큼 계약서, 신청서 등을 전자문서로 지원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안하고 있다"고 밝혔다.

조창제 브레인 네트워크 포럼 회장은 "ICT 정책 포럼과 컨퍼런스 등 일 년 두 차례 큰 행사를 개최하고 정보 공유를 통해 인적 네트워크를 활성화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사회봉사를 한 축으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올 하반기에는 '글로벌 ICT 융합 컨퍼런스'는 충북 청주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한경닷컴 김효진 기자 jin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