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지난해 1인당 명목 국내총생산(GDP)이 854달러로 전년보다 39달러 늘어난 것으로 추산됐다. 북한의 1인당 명목 GDP는 남한의 3.6% 수준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013년 북한 GDP 추정과 남북한의 경제·사회상 비교' 보고서에서 자체 추정 모델을 이용해 이 같은 분석을 내놨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북한의 1인당 명목 GDP는 남한의 1인당 명목 GDP 2만3838달러의 3.6% 수준이다.

다른 공산권 국가와 비교해도 중국(6천569달러), 베트남(1천896달러), 라오스(1천490달러)에 견줘 매우 적다.

북한과 비슷한 소득 수준을 가진 아시아 국가는 방글라데시(899달러)와 미얀마( 915달러) 정도다.

김천구 선임연구원은 "현재 북한의 1인당 소득 수준과 산업 구조는 남한의 1970년대와 유사하다"고 평가했다.

북한의 1인당 농업생산성은 남한의 1970년 수준이며, 북한은 현재 전체 인구의 3분의 1 이상이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북한의 시멘트 생산량과 화학비료 생산량도 남한의 1970년과 유사하다. 철강 생산량은 현재 남한 생산량의 1.8%, 자동차 생산량은 0.1%다.

대외 거래 측면에서 북한의 교역량은 남한의 1970년대 초반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만성적인 무역수지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김 연구원은 전했다.

발전량은 남한의 1975년과 비슷하며, 영양 섭취는 남한의 1970년 수준에도 못 미친다. 기대수명과 고학력자 비중은 남한의 1980년대 수준이다.

김 연구원은 "북한의 낮은 소득수준과 식량부족으로 가장 큰 피해가 예상되는 영·유아 등 취약계층에 대해 적절한 인도적 지원을 지속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남북의 높은 소득격차로 통일비용 부담이 큰 상황이므로, 통일 이전에 남북 경제력 격차를 줄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