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물가 안정세, 전분야 생산 증가…대외위험요인은 여전"

정부가 경제 회복 조짐이 점차 강화되고 있지만 민간부문 회복세가 미약하고 대외 위험요인이 여전하다고 진단했다.

기획재정부는 11일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3월호에서 "최근 경제는 고용·물가 안정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광공업, 서비스업, 건설업, 공공행정 등 전(全)분야의 생산이 증가한 모습"이라며 "경제의 회복 조짐이 점차 강화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투자 등 민간부문 회복세가 아직은 견고하지 않은 모습이며 미국 양적완화 리스크, 신흥국 불안, 엔화약세 등 대외 위험요인이 여전하다"고 덧붙였다.

1월 고용시장은 전년동월비 취업자 수 증가 폭이 70만5천명으로 전월(56만명)에 비해 확대됐고, 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 같은 달 대비 1.0%로 안정세를 이어가고 있다.

광공업 생산은 1월 기준으로 휴대전화, 자동차를 중심으로 전월 대비 0.1% 늘었고 서비스업 생산도 설 명절 효과 등에 힘입어 도·소매, 숙박·음식업이 확대되면서 0.9% 증가했다.

소비 개선세도 눈에 띈다.

1월 소매판매는 개별소비세 인하로 자동차 판매가 늘면서 한달 전보다 2.4% 늘었다.

이는 2011년 3월 이후 34개월 만에 최대 증가폭이다.

반면 투자 부문은 회복세가 뚜렷하지 않다.

1월 설비투자지수는 기계류, 운송장비가 모두 감소해 전월대비 4.5%, 전년동월대비 1.7% 감소했다.

대외위험요인으로는 미국 양적완화 축소와 우크라이나 사태 등이 꼽혔다.

기재부는 "세계경제는 미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겠으나 미국 양적완화 축소 지속에 따른 일부 신흥국 성장 둔화 우려, 우크라이나 사태 추이 등이 위험요인으로 상존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일본 아베노믹스의 향방, 중국 성장전략 전환과정에서의 성장둔화 가능성, 유로지역의 높은 실업률과 낮은 물가상승률 수준 등도 일부 리스크 요인으로 잠재돼있다"고 덧붙였다.

(세종연합뉴스) 차지연 기자 charg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