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은 정부가 추진 중이나 야당의 강한 반대에 부딪힌 원격의료 도입과 관련해 우호적인 시중 여론이 높다며 설 명절 이후 적극적인 여론전에 나설 태세다.

2일 새누리당의 자체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원격의료 도입에 성인 10명 중 7명꼴로 찬성 의견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당의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이 지난달 25일 전국의 유권자 2천403명을 대상으로 '보건의료제도 개선책'에 대해 여론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68.3%가 "원격의료 허용에 찬성한다"는 답변을 했다.

응답자의 24.8%는 반대 의사를 밝혔고, 6.9%는 "잘 모른다"고 답했다.

여론조사는 유·무선 임의전화걸기(RDD) 방식으로 이뤄졌으며 신뢰도 95%에 표본오차 ±2.0%포인트다.

이번 여론조사에서 또 다른 쟁점인 '의료법인 자법인 설립 및 인수·합병 허용'에 대해서는 찬성이 45.3%로 반대 39.0%보다 많았다.

'법인약국 허용'에 대한 찬성률도 63.2%로 반대율 27.5%를 크게 웃돌았다.

새누리당은 의료계와 야권의 반발 속에 정부의 '의료서비스 개선대책'을 둘러싼 논란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여론조사 결과에 한껏 의미를 부여하는 모습이다.

이에 따라 의료규제 완화와 건강보험 체계 개선을 위해 '당 국민건강특별위원회'를 발족한 데 이어 "정부가 추진하는 의료정책은 공공의료를 강화하고 의료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목적"이라는 논리를 전파하는데 더욱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당 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예상보다 정부의 보건의료 개선책에 대한 여론이 호의적이었으며, 의료계나 야당의 반대 논리가 큰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는 게 확인됐다"고 주장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준서 기자 ju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