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양적완화 축소 결정 여파로 세계 금융시장이 재차 몸살을 앓았다.

신흥국 통화 가치가 하락세로 돌아서 금리 인상으로 통화 방어에 나선 신흥국들의 노력을 무색하게 했고 증시도 일제히 하락했다. 영향은 선진국 시장도 비켜가지 않았다. 미국에 이어 일본 증시마저 크게 떨어졌다.

30일 오전 11시 38분(한국시간) 현재 터키 리라화 가치는 달러당 2.2675리라로 1.81%, 남아프리카공화국 랜드화 가치는 달러당 11.3127랜드로 1.30% 각각 급락했다.

이들 양국 중앙은행은 앞서 전격적인 금리 인상을 단행해 통화 가치를 일시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미국 중앙은행(Fed)이 양적완화 규모를 월 650억달러(약 70조원)로 기존보다 100억달러 추가로 줄이기로 결정함에 따라 금리 인상 효과가 힘을 잃었다.

멕시코 페소화와 브라질 헤알화의 가치도 각각 1.14%, 0.65% 떨어졌다.

아시아 주요 신흥국 시장도 흔들렸다.

인도네시아 루피아화 및 필리핀 페소화의 가치는 0.34%, 0.35% 각각 하락했다.

말레이시아 링깃화 가치는 0.30%, 태국 바트화 가치는 0.20% 각각 내렸다.

중남미 시장도 크게 동요해 브라질 헤알화 가치는 0.65%, 멕시코 페소화 가치는 1.14% 떨어졌다.

반면 달러·엔 환율은 102.19엔으로 0.58엔 내렸다.

신흥국 시장이 불안을 보이면서 안전자산으로 간주되는 엔화 매수세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아시아 등 주요국 증시도 타격을 받아 일본 닛케이 평균주가(닛케이 225)는 14,872.38로 3.33%, 토픽스지수는 1,218.03으로 3.04% 각각 폭락했다.

엔저 추세에 제동이 걸리면서 수출주를 중심으로 투자 심리가 악화됐다.

앞서 미국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1.19%,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지수는 1.02% 떨어졌다.

중국 상하이 종합지수와 선전 종합지수가 각각 0.76%, 0.54%씩 하락했다.

미국 양적완화 축소에다 주요 제조업 경기 지표인 1월 HSBC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까지 잠정치보다 소폭 낮고 반년 만에 최저치인 46.5로 나와 추가 악재로 작용했다.

홍콩 항셍지수는 1.55%, 호주 S&P/ASX 200지수는 1.03% 각각 떨어졌다.

싱가포르 ST지수도 1.06%,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종합지수도 1.25% 각각 주저앉았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