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일리지 100억 쌓였는데 못쓰다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정부 '공무항공마일리지' 기관별 통합사용 요청
대한항공·아시아나, 민간기업 확산 우려에 난색
정부 '공무항공마일리지' 기관별 통합사용 요청
대한항공·아시아나, 민간기업 확산 우려에 난색
지난해 영국 런던으로 공무출장을 다녀온 안전행정부 사무관 A씨. 국적기인 아시아나항공으로 출장을 다녀와 1만마일가량의 마일리지를 쌓았다. 하지만 공무원 지침상 공무출장으로 쌓은 마일리지여서 개인적으로는 쓸 수 없다. 문제는 공무상으로도 이 마일리지를 활용할 방법이 없다는 것. A씨는 “출장 기회가 적은 데다 적립된 마일리지도 적어 현실적으로 쓸 방법이 없다”며 “정부 기관별로 마일리지를 통합 관리하면 마일리지를 활용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7년간 마일리지 100억원 쌓여
공무원들이 매년 공무출장으로 적립한 ‘공무항공마일리지’가 제대로 사용되지 못한 채 버려지고 있다. 19일 안행부에 따르면 공무원들의 마일리지 사적 사용이 금지된 2006년 3월 이후 적립된 공무항공마일리지는 5억9721만마일에 달한다. 공무항공마일리지는 개인적인 활용은 금지돼 있지만 또 다른 공무출장 시 적립된 마일리지를 통한 보너스항공권 구매 등은 가능하다. 하지만 마일리지가 개인별로 분산 적립되다 보니 개인별 평균 보유량은 국제선 탑승 기준(3만마일·이코노미석)에 미달하는 1만2000마일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활용률은 18.4%인 1억1000만마일에 불과하다. 사용하지 못한 4억8000만마일은 미국 뉴욕 출장에 필요한 왕복 7만마일(이코노미석 기준)을 기준으로 6800여명이 왕복할 수 있는 규모다. 마일리지당 가격을 20원으로 환산하면 100억원에 이른다. 해외 출장이 잦은 외교부 공무원만 공무항공마일리지를 이용하고 있을 뿐 대부분의 공무원은 활용하고 있지 못한 게 현실이다. 중앙정부와 별도로 마일리지를 관리하고 있는 서울시 등 지방자치단체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이 때문에 안행부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에 공무항공마일리지를 개인별이 아닌 기관별로 통합 사용할 수 있도록 해 달라고 꾸준히 요청해 왔다. 공무항공마일리지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면 국민 세금을 낭비하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항공사는 민간 파급 우려로 반대
항공사들은 마일리지 제도는 마케팅 수단일 뿐 제3자 양도를 허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기관별 마일리지 통합 사용을 허용할 경우 고객 확보라는 마일리지 제도의 마케팅 효과가 급감할 것”이라며 반대했다. 아시아나항공 측도 “기관별 마일리지 통합 사용은 전혀 고려한 바 없다”고 잘라 말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난해 기관별 통합사용 대신 적립된 마일리지를 다문화가정 및 저소득층 가정에 기부하겠다고 제안했다. 안행부와 이들 항공사는 지난해 말까지 수차례 회의를 열었지만 항공사들은 이마저도 정부의 요구를 거부했다.
안행부는 “100억원이라는 마일리지 비용보다는 항공사들이 민간기업으로의 확산을 우려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공무항공마일리지에 대해서만 기관별 통합 사용이나 기부를 허용한다 하더라도 일반 기업이나 단체뿐 아니라 개인들마저 비슷한 요구를 하는 등 파장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정부는 올해부터 공무원들이 공무항공마일리지와 개인적으로 적립한 항공마일리지를 통합·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시행하고 있다. 국외출장 시 기존에 적립한 공무항공마일리지가 부족한 경우 개인적으로 적립한 항공마일리지를 정부가 구매(항공운임 지급)해 공무항공마일리지와 합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
○7년간 마일리지 100억원 쌓여
공무원들이 매년 공무출장으로 적립한 ‘공무항공마일리지’가 제대로 사용되지 못한 채 버려지고 있다. 19일 안행부에 따르면 공무원들의 마일리지 사적 사용이 금지된 2006년 3월 이후 적립된 공무항공마일리지는 5억9721만마일에 달한다. 공무항공마일리지는 개인적인 활용은 금지돼 있지만 또 다른 공무출장 시 적립된 마일리지를 통한 보너스항공권 구매 등은 가능하다. 하지만 마일리지가 개인별로 분산 적립되다 보니 개인별 평균 보유량은 국제선 탑승 기준(3만마일·이코노미석)에 미달하는 1만2000마일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활용률은 18.4%인 1억1000만마일에 불과하다. 사용하지 못한 4억8000만마일은 미국 뉴욕 출장에 필요한 왕복 7만마일(이코노미석 기준)을 기준으로 6800여명이 왕복할 수 있는 규모다. 마일리지당 가격을 20원으로 환산하면 100억원에 이른다. 해외 출장이 잦은 외교부 공무원만 공무항공마일리지를 이용하고 있을 뿐 대부분의 공무원은 활용하고 있지 못한 게 현실이다. 중앙정부와 별도로 마일리지를 관리하고 있는 서울시 등 지방자치단체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이 때문에 안행부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에 공무항공마일리지를 개인별이 아닌 기관별로 통합 사용할 수 있도록 해 달라고 꾸준히 요청해 왔다. 공무항공마일리지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면 국민 세금을 낭비하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항공사는 민간 파급 우려로 반대
항공사들은 마일리지 제도는 마케팅 수단일 뿐 제3자 양도를 허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기관별 마일리지 통합 사용을 허용할 경우 고객 확보라는 마일리지 제도의 마케팅 효과가 급감할 것”이라며 반대했다. 아시아나항공 측도 “기관별 마일리지 통합 사용은 전혀 고려한 바 없다”고 잘라 말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난해 기관별 통합사용 대신 적립된 마일리지를 다문화가정 및 저소득층 가정에 기부하겠다고 제안했다. 안행부와 이들 항공사는 지난해 말까지 수차례 회의를 열었지만 항공사들은 이마저도 정부의 요구를 거부했다.
안행부는 “100억원이라는 마일리지 비용보다는 항공사들이 민간기업으로의 확산을 우려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공무항공마일리지에 대해서만 기관별 통합 사용이나 기부를 허용한다 하더라도 일반 기업이나 단체뿐 아니라 개인들마저 비슷한 요구를 하는 등 파장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정부는 올해부터 공무원들이 공무항공마일리지와 개인적으로 적립한 항공마일리지를 통합·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시행하고 있다. 국외출장 시 기존에 적립한 공무항공마일리지가 부족한 경우 개인적으로 적립한 항공마일리지를 정부가 구매(항공운임 지급)해 공무항공마일리지와 합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