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의 64%가 가전제품 수리비가 비싸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녹색소비자연대가 최근 3년 이내 가전제품을 수리한 적이 있는 소비자 700명을 온라인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63.9%가 비싸다고 답했다고 30일 밝혔다.

반면 저렴하다는 응답률은 2.1%에 불과했다.

수리비는 5만 원 미만이 42.9%로 가장 많았고 5만∼10만 원(34.0%), 10만∼50만 원(21.4%), 50만 원 이상(1.7%) 등의 순이었다.

녹소연이 올해 상반기 `1372 전국소비자상담센터'에서 접수한 가전제품 수리 상담 1천652건을 분석한 내용을 살펴보면 TV가 33.2%로 가장 많았다.

이어 김치냉장고(21.7%), 냉장고(15.9%), 전기밥솥(12.6%), 에어컨(8.1%) 등이 뒤따랐다.

매출 규모에 따른 업체별 상담 건수는 위니아만도가 100억 원당 4.6건으로 가장 많았고, 쿠쿠전자 4.0건, 동부대우전자 0.8건, LG전자 0.1건, 삼성전자 0.1건 등의 순이었다.

녹소연이 또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센터에서 접수한 가전제품 수리비 상담 953건을 살펴본 결과, 평균 수리비는 구입 가격의 12.7%, 평균 사용 기간은 4.08년인 것으로 집계됐다.

녹소연 관계자는 "제조사가 외주업체에서 부품을 반제품 상태로 공급받아 조립하는 부품 모듈화 때문에 고장 시 단품이 아닌 전체 부품을 통째로 교체해야 해서 수리비가 대폭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며 "수리비에 부담을 느끼는 소비자를 위해 대안이 제공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임은진 기자 engin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