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최고가 행진' 미국 증시는 거품일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국 증시의 '거품(버블)' 우려가 지나치다는 분석이 나왔다. 인터넷 업종의 주가도 과거 '닷컴 버블' 때보다 약하다는 평가다.
삼성증권은 19일 미국 증시의 버블 가능성에 대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 일부 인터넷 개별종목을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우려할 단계가 아니라고 분석했다.
ADVERTISEMENT
지난 밤 미국 증시는 혼조세를 나타냈다. 장 초반 사상최고치를 다시 경신했다가 장 후반 차익실현 매물에 밀렸다. 특히 장중 퍼진 '기업 사냥꾼' 칼 아이칸의 부정적인 코멘트가 투자심리를 위축시킨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최근 상승세에 대해 "주가가 대폭 하락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최근 미국 증시를 이끌던 인터넷 업종의 대표적 종목인 아마존, 구글, 페이스북의 주가는 올 들어 평균 47% 상승했다. 같은 기간 나스닥은 28% 올랐다.
ADVERTISEMENT

11월 현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CAPE 기준 24.4배 수준. 장기 평균인 16.5배보다 높지만 닷컴 버블 당시 44배보다 크게 낮은 수준. CAPE 기준은 로버트 실러 예일대 교수가 개발한 지표로 경기 사이클을 조정한 주당순이익을 바탕으로 한 밸류에이션 평가다.
미국의 과거 주요 강세장 국면의 기간과 수익률 및 고점 당시 밸류에이션을 분석한 결과도 현재 16.4배로 과거 평균 23.7배보다 낮다.
박 연구원은 "버블 논란의 핵심은 미국 주가 상승세가 연초 예상을 뛰어넘고 있기 때문" 이라며 "올 초만 해도 미국 증시를 연말 S&P500지수를 기준으로 1650포인트까지 전망하면 대단히 낙관적인 견해로 받아들여졌고, 1800포인트를 넘볼 것으로 보는 사람은 별로 없었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이민하 기자 minari@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