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스타로 활약하다가 은퇴한 선수 100명 중 36명꼴은 무직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55개 주요 종목 가운데 은퇴 후 실업자가 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종목은 테니스, 재취업 사정이 가장 좋은 종목은 탁구인 것으로 각각 조사됐다.

국회 교육문화관광체육위 소속 민주당 유기홍 의원은 20일 대한체육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2012년 기준 은퇴선수 3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번 조사에서 전체 은퇴 선수 중 무직자는 35.9%였다. 취업자 중에도 선수 활동과 관련한 분야에서 종사하는 비율은 31.2%에 불과했다.

은퇴선수의 무직자 비율은 테니스가 50%(54명 중 27명)로 가장 높았고, 태권도도 49.6%(250명 중 124명)에 달했다.

축구(371명 중 170명)도 골프(166명 중 77명), 댄스스포츠(24명 중 11명)와 함께 각각 45.8%로 높은 실업률을 보였다.

사격과 농구도 각각 45.7%와 44.8%로 은퇴 후 실업자 비율이 높았다.

반면 탁구의 무직자 비율은 13.6%로 55개 종목 중 가장 낮았다. 요트 14.3%, 레슬링 17.5%, 육상 19.2%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선수 생명이 가장 긴 종목은 배드민턴으로 평균 14.4년간 선수로 활약한 것으로 집계됐고 아이스하키 12.4년, 정구 12.3년, 탁구 11.8년, 요트 11.5년 등이었다.

골프의 '평균수명'은 4.7년으로 전체 스포츠 종목 가운데 가장 짧았다. 이외 스쿼시 5.8년, 인라인롤러·우슈 각 6.3년, 산악 6.4년, 볼링 7.2년 등으로 파악됐다.

유 의원은 "운동선수들이 은퇴 후 삶에 대비하도록 미리 돕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경닷컴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