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지질조사국 "지진정보 정확성 떨어질 수 있어"
소수인종 중소기업·소비자심리도 타격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부분 업무정지)이 장기화하면서 미국지질조사국(USGS)의 지진 계측 활동에도 차질이 생기는 등 피해가 전방위로 번지고 있다.

USGS는 15일(현지시간) 자신들이 운영하는 지진·쓰나미 경보 웹사이트(http://earthquake.usgs.gov)에 '데이터의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내용의 경고문을 올렸다.

이 기관은 사이트 첫 화면 상단에 게시한 배너를 통해 "연방정부의 지원에 공백이 생겨 USGS의 지진위험 프로그램(Earthquake Hazards Program) 활동이 대부분 중단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USGS는 지진 활동을 계속 감시·발표할 예정이나, 일부 지진 정보의 정확성 또는 신속성, 일부 웹 페이지의 기능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로버트 겔러 일본 도쿄대 지진학 교수는 "만약 미국에서 대규모 지진이 일어났는데 정부가 USGS의 데이터를 활용할 수 없다면 구조 활동이 지연될 수 있다"고 말했다.

USGS의 활동이 축소되면 그 여파는 미국 내에 그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강진으로 최소 93명이 숨진 필리핀을 비롯해 여러 개발도상국이 USGS의 지진 데이터에 의존하고 있다고 겔러 교수는 지적했다.

다만, 지질조사국 산하 국립지진정보센터(NEIC) 관계자는 셧다운 이전과 다름 없이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 하청업체를 비롯해 민간 산업계가 입은 타격도 확대일로다.

연방정부 지출 감소에 비교적 취약한 미국 내 소수인종 중소기업들은 특히 직격탄을 맞았다.

휴스턴에서 중소기업을 운영하는 흑인 여성 재닛 베이셴은 지난 13일 19명의 직원을 불러 "급료를 줄 수 없으니 내일부터는 출근하지 마라"라고 말해야 했다.

다양성 교육 및 차별고충 조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 회사는 연방정부 기관들로부터 약 10만달러(약 1억700만원)의 대금을 받기로 돼 있었지만 지불이 늦어지면서 어려움에 처했다.

정부 기관들은 일부 계약 건에 대해 일시적으로 업무를 중단하라는 지시를 보내왔다.

해리 앨퍼드 전국흑인상공회의소 회장은 소수계가 운영하는 중소기업은 록히드마틴이나 보잉 등 대기업만큼의 자금 조달 능력이 없다며 "큰 기업이 감기에 걸리면 우리는 폐렴에 걸린다"고 토로했다.

소비자 심리도 크게 위축되고 있다.

국제쇼핑센터위원회(ICSC)와 골드만삭스가 미국 소비자 1천25명을 상대로 이달 10일∼13일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 5명 가운데 2명이 셧다운의 직·간접적 결과로 지출을 억제하고 있다고 답했다.

미국 최대 유통기업인 월마트의 마이크 듀크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개최한 연례 투자자·애널리스트 회의에서 셧다운이 소비자들에게 영향을 주고 있다며 상황을 면밀히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뉴욕의 민간경제분석기관인 콘퍼런스보드(CB)는 오는 18일 10월 소비자신뢰지수와 경기선행지수(LEI)를 발표할 예정이었으나, 정부기관의 경제·고용 관련 지표 공개 서비스가 중단되면서 이를 연기했다.

(도쿄·워싱턴·뉴욕 블룸버그·dpa·AP=연합뉴스) kimhyoj@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