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정부 셧다운(일시 업무정지) 사태가 2주 가까이 이어지자 미국민들이 더이상 참지 못하겠다면서 집단행동에 나서고 있다.

끝없는 정쟁 속에 좀처럼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공화당 양측에 큰 압박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일단 트럭 운전자들이 셧다운 사태에 항의하기 위해 미국의 수도 워싱턴DC 주변에서 대규모 시위를 벌였다.

'헌법수호를 위한 트럭커'(Truckers Ride for the Constitution)라고 자신들을 소개한 트럭 운전자들은 금요일인 11일 오전 워싱턴DC로 들어가는 주요 외곽 순환도로인 495벨트웨이에서 집단 운행시위를 벌였다.

운전석에 성조기를 달고 55마일 규정속도로 운행하는 트럭들이 오전 9시 이후 속속 집결했다.

현지 언론들과 주민들도 이들의 시위에 큰 관심을 갖고 지켜봤다.

미국은 사실상 11일부터 콜럼버스 연휴에 돌입한 상태였다.

하지만 당초 예상했던 수천대의 트럭들은 등장하지 않았다.

버지니아와 메릴랜드 지역의 벨트웨이에 등장한 트럭들은 수십대 수준에 머물렀다.

이날 하루동안 동원된 트럭 수도 수백대 수준에 불과했다고 현지 경찰은 전했다.

이에 따라 연휴 첫날 출근길 통행정체 사태는 벌어지지 않았다.

주변에 있던 경찰들도 이들을 단속하지 않았다.

버지니아주에 살고 있는 한 트럭운전사는 "미국을 책임진 정치인들이 헌법을 지키지 않아 정부폐쇄가 이뤄진 것에 항의하기 위한 것인 만큼 해결책이 나오도록 집단행동을 이어갈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집단행동을 계획한 조지아주 출신 운전자 얼 콘론은 일단 일요일인 13일 오후까지 이런 시위를 계속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트럭 시위는 미국인들의 분노가 점차 행동으로 표출되는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WP)를 비롯한 현지 언론들이 전했다.

정치권이 셧다운 사태를 끝낼 해결책을 이른 시일내에 찾지 못할 경우 더 큰 집단행동이 곳곳에서 벌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워싱턴DC내 대부분의 국립공원과 박물관 등이 문을 닫았지만 2차 세계대전 국립기념비는 일부 사람들의 출입이 허용되고 있다.

이는 2차 세계대전 참전용사들이 출입이 통제된 기념비에 들이닥치면서 '셧다운'을 집단으로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다.

오바마케어(건강보험개혁)를 저지하기 위해 셧다운 사태를 초래했다는 비난을 한몸에 받고 있는 공화당은 여론의 동향이 심상치 않자 국립공원이나 박물관을 다시 개방하기 위해 예산집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을 강구했다가 "꼼수를 쓴다"는 역풍을 맞기도 했다.

(워싱턴연합뉴스) 이우탁 특파원 lwt@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