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노조가 또 파업을 가결했다. 해도 너무 한다. △기본급 13만498원 인상 △순이익의 30% 성과급 지급 △상여금 800% 지급 등 1인당 1억원 상당의 임금을 더 달라는 게 노조의 요구다. 지금도 업계 최고 대우를 받는 현대차 노조가 이런 무리한 조건을 내걸고 파업을 하겠다니 정말 어이가 없다. 노조 요구안에는 도저히 납득하기 어려운 것들도 적지 않다. 대학에 진학못한 자녀에게도 ‘기술취득지원금’ 명목으로 1인당 1000만원씩 지급해 달라는 것에서부터 노조 간부의 면책특권 강화, 신차종 투입 시 노조 동의 요구 등 일일이 적시하기도 어렵다.

사실 조합원 찬반투표는 하나마나였다. ‘파업을 하면 더 얻는다’는 인식이 뿌리깊이 박힌 상황에서 결과는 뻔했다. 1987년 설립 이후 단 4년을 제외하고 23년을 내리 파업에 나섰다는 점이 이를 웅변한다. 상황이 여기까지 이른 데는 물론 회사가 법과 원칙을 지키지 못했다는 점도 지적돼야 할 것이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정치권의 부당한 개입이었다. 1998년 노무현 전 대통령이 현대차 노사쟁의 현장에 직접 뛰어들었던 바로 그 순간부터 노사 차원의 협상은 물건너갔었다는 분석들이다.

노조원 개개인도 그렇다. 나의 한 표가 설마 무슨 일을 만들어 내겠는가 하는 도덕적 해이가 만연해 있고 노조 내 투쟁그룹들도 헤게모니 다툼 과정에서 경쟁적으로 과격 투쟁에 말려가는 형국인 것이다. 노조가 무리한 요구를 계속한다면 공장을 해외로 옮기는 외에는 다른 방도가 있을 수 없다.

GM과 디트로이트시의 경우를 보고서도 노조는 악습을 끊지 못하고 있다. 회사의 결연한 대응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