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연금과 군인연금은 기금이 소진되면 국가가 적자분을 충당해주는 구조다. 공무원연금은 2001년 적립금이 고갈된 이후 ‘혈세 먹는 하마’가 됐다. 올해 공무원연금공단의 운용수입은 7조6633억원인데, 퇴직자에게 지급해야 할 연금 등 지출은 9조5586억원이다. 즉 1조8953억원의 적자를 재정으로 메꿔줘야 한다. 이런 식으로 공무원연금에 쏟아부은 재정자금은 지난해까지 10조2283억원에 달했다.
1977년 기금이 고갈된 군인연금 역시 사실상 파산 상태다. 2010년부터는 매년 1조원 이상을 국민들이 대신 메꿔주고 있다.
문제는 이 같은 재정 부담이 갈수록 커진다는 점이다. 국회 예산정책처에 따르면 국가 재정으로 채워줘야 할 공무원연금 적자는 내년 2조3409억원에 달하게 된다. 2020년엔 6조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공무원·군인연금 수혜자에게 약속한 연금을 모두 준다고 가정할 때 국가가 잠정적으로 지는 충당부채는 지난해 말 기준 436조9000억원에 이르렀다. 언젠가는 국민 몫이 될 수 있는 ‘보이지 않는 빚’이다.
합리적으로 생각하면 공무원이 연금수령액을 줄이는 것이 맞다. 지금도 일반 국민이 받는 국민연금과 비교해 ‘후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공무원연금의 소득대체율(연금 가입 기간 평균 소득 대비 연금 지급비율)은 60%로 국민연금의 40%보다 훨씬 높다. 그럼에도 공무원 스스로 연금 개혁의 칼을 빼어든 적은 많지 않다.
2033만명(지난해 말 기준)이 가입한 국민연금 역시 붕괴 위기에서 자유롭지 않다. 국민연금재정추계위원회에 따르면 국민연금은 2044년 적자로 돌아선 뒤 2060년 완전히 소진될 전망이다. 고령화 속도가 워낙 빠른 탓이다.
전문가들은 현세대가 ‘더 내고 덜 받는’ 식의 연금 개혁에 나서지 않는 이상 디트로이트 파산 시나리오가 먼 나라의 일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김유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