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7년후 대학 55개 없어져야 할 상황…지방대, 지역산업 연계해 특성화해야 생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거석 대학교육협의회장
대학은 뼈를 깎는 자구노력…고등교육 재정지원도 늘려야
대학은 뼈를 깎는 자구노력…고등교육 재정지원도 늘려야
“앞으로 7년 후인 2020년에는 정원 2000명인 대학 55곳이 없어져야 하는 그야말로 대학 붕괴의 ‘쓰나미’가 몰려옵니다. 대학이 뼈를 깎는 자구노력을 기울여야 하겠지만 정부도 고등교육에 대한 재정 지원을 늘려야 합니다.”
서거석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회장(전북대 총장·사진)은 4일 “2017년부터 대학 정원보다 고교 졸업자가 적어져 2020년에는 11만명이 모자란다”며 이같이 말했다. “대학 진학률도 낮아지고 있어 실제로는 100여개 대학이 문을 닫아야 하는 상황”이라고 그는 강조했다.
전국 4년제 대학 모임인 대교협을 이끌고 있는 서 회장은 대학의 자구노력을 선도하고 정부의 재정지원 확대도 끌어내야 하는 어려운 상황에서 전체 대학들의 의견을 조율하며 대학의 입장을 대변하고 있다. 과거와 달리 대교협 차원에서 정부에 건의서도 내고 주요 정책 방향에 대한 대학 측의 의견도 적극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지방대 총장이기도 한 서 회장은 특히 전국 균형발전을 위한 대학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그는 “최근 정부가 발표한 지방대 육성 방안은 구호만 요란했던 과거 정부와 달리 실질적 도움이 되리라 본다”며 “지방대가 지역 산업과 연계된 학과로 특성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 회장은 “2조7750억원대 국가장학금을 투입해 고등교육 재정이 국내총생산(GDP)의 0.7% 수준까지 왔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1.1%)에 못 미친다”며 정부의 재정투자 확대를 요구했다. 그는 “독일과 프랑스는 일찍이 대학까지 의무교육을 실시해 누구나 희망하면 대학에 갈 수 있도록 했다”며 “독일의 재정투자는 GDP의 1.3% 이상”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소득분위에 따라서 학생들에게 일률적으로 장학금을 지급하는 현재 방식으로는 대학이 할 수 있는 역할이 없다”며 “국가장학금을 대학이 알아서 사용하도록 하면 각 대학이 이공계나 특성화 부문에 장학금을 늘리는 등 특성에 맞게 발전시켜 나갈 수 있다”고 주장했다.
대학의 자구노력과 관련해 서 회장은 “학과를 개편하고 정원을 줄이는 등 대학도 뼈를 깎는 구조조정을 해야 한다”며 “아직 논의 단계에 있지만 전국 대학의 정원을 일정 비율 같이 줄이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전문대에 4년 학제를 허용하자는 방안이 나왔는데 이는 4년제 대학을 늘리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대학 구조조정을 해야 하는데 새로 설립하라는 것은 맞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전북대 총장으로서 서 회장은 지방대 한계를 극복하는 새로운 발전전략도 선도하고 있다. 그는 “전북지역 산업기반이 상대적으로 미미하다보니 전북대는 전국 최초로 경남 창원에 산학협력센터를 열었다”며 “자체 장학금 조성 등을 통해 이미 반값 등록금을 실현하고 교수진의 연구실적도 뛰어나 웬만한 수도권 사립대보다 나은 성과를 보이고 있다”고 소개했다.
정태웅 기자 redael@hankyung.com
서거석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회장(전북대 총장·사진)은 4일 “2017년부터 대학 정원보다 고교 졸업자가 적어져 2020년에는 11만명이 모자란다”며 이같이 말했다. “대학 진학률도 낮아지고 있어 실제로는 100여개 대학이 문을 닫아야 하는 상황”이라고 그는 강조했다.
전국 4년제 대학 모임인 대교협을 이끌고 있는 서 회장은 대학의 자구노력을 선도하고 정부의 재정지원 확대도 끌어내야 하는 어려운 상황에서 전체 대학들의 의견을 조율하며 대학의 입장을 대변하고 있다. 과거와 달리 대교협 차원에서 정부에 건의서도 내고 주요 정책 방향에 대한 대학 측의 의견도 적극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지방대 총장이기도 한 서 회장은 특히 전국 균형발전을 위한 대학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그는 “최근 정부가 발표한 지방대 육성 방안은 구호만 요란했던 과거 정부와 달리 실질적 도움이 되리라 본다”며 “지방대가 지역 산업과 연계된 학과로 특성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 회장은 “2조7750억원대 국가장학금을 투입해 고등교육 재정이 국내총생산(GDP)의 0.7% 수준까지 왔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1.1%)에 못 미친다”며 정부의 재정투자 확대를 요구했다. 그는 “독일과 프랑스는 일찍이 대학까지 의무교육을 실시해 누구나 희망하면 대학에 갈 수 있도록 했다”며 “독일의 재정투자는 GDP의 1.3% 이상”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소득분위에 따라서 학생들에게 일률적으로 장학금을 지급하는 현재 방식으로는 대학이 할 수 있는 역할이 없다”며 “국가장학금을 대학이 알아서 사용하도록 하면 각 대학이 이공계나 특성화 부문에 장학금을 늘리는 등 특성에 맞게 발전시켜 나갈 수 있다”고 주장했다.
대학의 자구노력과 관련해 서 회장은 “학과를 개편하고 정원을 줄이는 등 대학도 뼈를 깎는 구조조정을 해야 한다”며 “아직 논의 단계에 있지만 전국 대학의 정원을 일정 비율 같이 줄이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전문대에 4년 학제를 허용하자는 방안이 나왔는데 이는 4년제 대학을 늘리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대학 구조조정을 해야 하는데 새로 설립하라는 것은 맞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전북대 총장으로서 서 회장은 지방대 한계를 극복하는 새로운 발전전략도 선도하고 있다. 그는 “전북지역 산업기반이 상대적으로 미미하다보니 전북대는 전국 최초로 경남 창원에 산학협력센터를 열었다”며 “자체 장학금 조성 등을 통해 이미 반값 등록금을 실현하고 교수진의 연구실적도 뛰어나 웬만한 수도권 사립대보다 나은 성과를 보이고 있다”고 소개했다.
정태웅 기자 reda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