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악화·수주감소속 잇따른 수사·감사로 더 힘들어"

건설사들이 '4대강 담합'으로 또다시 울상을 짓고 있다.

감사원은 10일 '4대강 살리기 사업 설계·시공일괄입찰 등 주요계약 집행실태' 감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 5월 검찰이 건설사들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선지 2개월도 안 됐다.

감사원은 이명박 정부가 대운하 공약 포기 선언 후 재추진을 염두에 두고 4대강 사업을 설계해 대형 건설사들이 컨소시엄을 통해 낙찰 예정자를 사전 협의하는 등 손쉽게 담합할 수 있었다고 지적했다.

건설사 호텔 회동 등 담합 정황이 포착됐음에도 국토교통부가 별다른 제재 없이 2011년 말 준공을 위해 사업비 4조1천억원 규모의 1차 턴키공사를 한꺼번에 발주해 담합을 사실상 방조했다는 조사 결과도 내놨다.

건설사들은 이와 관련, 부동산경기 침체 장기화로 실적 악화와 수주 감소 등으로 고전하고 있는데 전 정부의 '4대강 살리기 사업'으로 인한 각종 조사와 수사, 감사 등으로 정신을 차릴 수 없다고 하소연했다.

올해 5월 중순에도 검찰이 건설업체와 협력업체 30여 곳에 대해 압수수색에 나서 건설사들이 한 차례 몸살을 앓았다.

대형 건설사의 한 관계자는 "4대강 담합 건으로 여러 차례 조사와 수사, 감사를 받은 터라 그 결과가 나와도 무감각한 편이지만 경기도 좋지 않은데 이런 내용이 자주 나와서 매우 신경이 쓰인다"고 언급했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국토부가 담합을 조장했다는 감사원 지적에 대해서도 "감사 결과를 보면 그만큼 담합 정황이 확실하니 건설사들이 모두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으로 해석된다"며 "언제까지 시달려야 할지 모르겠다.

검찰 수사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 두렵다"고 말했다.

또 다른 건설사 관계자는 "국내 건설시장이 침체인 상황에서 해외로 눈을 돌리고 있으나 최근에는 해외 수주도 여의치 않다"며 "태국 물사업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까 걱정된다"고 지적했다.

더구나 건설 경기 침체 등으로 건설사들의 2분기 실적은 작년 동기보다 많이 줄어든 것으로 추정됐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건설 경기 침체, 해외 저가 수주에 따른 실적 악화에다가 전 정부의 4대강 사업에 대한 담합 건으로 이미지까지 나빠질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윤선희 기자 indig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