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公 새 사장 인선 또 연기…왜?
정부가 검증 절차 보강 등의 이유로 미뤄왔던 한국가스공사 신임 사장 인선이 또다시 연기됐다. 지난달 25일에 이어 두 번째다. 최고경영자(CEO) 공백이 두 달 이상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최대주주인 정부가 사장 선임에 재차 제동을 걸고 나서면서 뒷말이 무성하다.

가스공사는 9일 경기 성남시 본사에서 주주총회를 열고 이날 의결하기로 한 신임 사장 선임을 23일로 연기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공사 관계자는 “주주총회에서 좀 더 정밀한 인사검증이 필요하다는 정부 측 요청에 따른 것”이라고 전했다. 정부는 가스공사 지분 26.86%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공사 사장 후보로는 김정관 전 지식경제부(현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과 장석효 전 가스공사 자원사업본부장이 올라 있다.

가스공사는 당초 지난달 25일 주주총회를 열고 사장을 선임하기로 예정돼 있었다. 하지만 낙하산 인사에 대한 여론이 악화되자 청와대가 기관장 인선 절차를 중단하라는 지시를 내리면서 사장 선임이 무산됐다.

정부는 이날 한 차례 더 의결을 연기할 것을 요청하면서 충실한 인사 검증을 위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청와대 관계자는 “아직 인사검증이 덜 끝나 결정이 늦어지고 있는 것일 뿐 다른 배경이 있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하지만 사장 선임이 계속 미뤄지면서 회사 안팎에서는 갖가지 억측이 난무하고 있다. 청와대가 김 전 차관을 유력 후보로 이미 내정해놓고도 그가 관료 출신인 데다 사실상 인사위원장 역할을 맡고 있는 허태열 청와대 비서실장과 같은 부산·경남(PK) 출신이라는 점 때문에 차일피일 미루고 있다는 관측이 대표적이다. 경영능력과 전문성을 충분히 따져보겠다는 점은 이해할 수 있지만 과거 공기업 CEO 인선사례들로 볼 때 이번 경우는 지나치다는 게 정부 내부의 평가이기도 하다.

소액주주들과 가스공사 노조도 불만을 감추지 않고 있다. 한 소액주주는 “두 사람 중에 한 사람을 결정하는 일인데 이렇게 시일을 끌어야 할 이유가 있느냐”며 “정부가 너무 일방적으로 일반 주주들을 무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