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컵 새 사령탑에 축구명장 '부촌1호 명사'
2014년 브라질월드컵에서 한국축구 국가대표팀을 이끌 사령탑으로 홍명보(44) 감독이 선임됐다.

24일 대한축구협회는 최강희 감독의 계약기간 만료에 따라 공석이 된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홍명보 감독을 선임했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홍 감독이 A매치 대표팀(연령 제한이 붙지 않는 정식 대표팀. FIFA 랭킹 산정에는 A매치 성적만 반영됨) 감독을 맡는 것은 처음이다. 하지만 이미 다양한 연령대의 대표팀 감독을 맡으며 지도력을 인정받은 바 있다.

홍 감독은 2006년 독일월드컵 대표팀 코치를 시작으로 2008년 베이징올림픽 대표팀 코치 등을 맡으며 대표팀 코칭스텝으로 능력을 발휘하기 시작했다.

이후 20세 이하(U-20) 대표팀 감독을 맡아 2009년 이집트 U-20 월드컵에서 8강 진출을 일궈냈다. 한국 20세 이하 대표팀이 이 대회에서 8강에 진출한 것은 18년 만이다.

ADVERTISEMENT

2010년 광저우 아시안게임 대표팀 감독도 맡아 동메달을 수상했다.

지난해에는 런던올림픽 대표팀 감독을 맡아 한국 축구사상 최초로 올림픽 동메달을 따냈다.

브라질 월드컵에서 한국 대표팀을 이끌게 된 홍 감독은 한국의 베벌리힐스를 표방한 고급 아파트인 강남구 도곡동 타워팰리스를 보유하고 있다.

ADVERTISEMENT

2004년 은퇴한 홍 감독은 1999년부터 2002년 월드컵 이전까지 일본 J리그 가시와 레이솔에서 선수생활을 했다. 월드컵이 끝난 뒤 잠시 포항스틸러스에 복귀했는데 이때 타워팰리스 3차 전용 176.1㎡를 선분양받았다. 이후 건물이 준공된 2004년 주소를 이곳으로 옮겼다.

1개동으로 구성된 타워팰리스 3차는 69층 건물로 높이가 264m에 달해 한국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기도 하다.

인근 부동산에 따르면 현재 타워팰리스 3차 176.1㎡(53.3평)의 시세는 30억원에 달한다. 3.3㎡(1평) 당 5600만원을 넘어선 수준이다.

ADVERTISEMENT

2002년 당시 타워팰리스 3차 176.1㎡(53.3평)의 분양가는 6억원 선이었다. 11년 새 24억원이 오른 셈이다.

서울 동북고등학교를 나온 홍 감독은 고려대학교를 거쳐 1992년 포항제철 아톰즈에서 프로축구에 데뷔했다. 1997년 일본 J리그에 진출해 벨마레 히라츠카, 가시와 레이솔 등에서 선수생활을 했다.

홍 감독은 고려대 재학 중이던 1990년 이탈리아에서 열린 월드컵에 출전한 이후 1994년 미국 월드컵, 1998년 프랑스 월드컵과 2002년 한일월드컵까지 네 차례나 월드컵에 출전했다. 살아있는 월드컵의 신화인 홍 감독은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가장 적격이라는 평가까지 받아왔다.

독이 든 성배 받아들인 영원한 ‘국가대표’

홍명보 감독은 국가대표 감독직을 고사해 온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축구협회가 대안을 찾지 못한 가운데 끝내 감독직을 맡게 됐다.

홍명보 감독의 전임인 최강희 감독 역시 국가대표 감독직을 고사했다. 한국 프로축구리그인 K리그에서 좋은 성적을 거둬온 최 감독은 자신이 클럽 축구팀에 어울리지만 국가대표에는 맞지 않은 감독이라고 이유를 밝혔고, 축구협회가 감독직을 압박해오자 사상 초유의 ‘시한부 감독’ 조건하에 국가대표 감독직을 맡은 것이다.

예정대로 계약기간이 끝나면서 최 감독은 물러났지만 축구협회는 차기 감독을 선임하는 과정에 들어가지 않은 상태였다. 일각에서는 ‘여론이 좋았을 경우 최 감독을 압박해 월드컵까지 감독직을 맡기려던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왔다.

하지만 월드컵 최종예선 이란전에서 한국이 패배하고 여론이 악화되자 새로운 감독 물색에 나선 것이다. 내년 6월에 열리는 브라질 월드컵까지는 1년도 채 남지 않은 시간에 대표팀을 장악하고 자기 색깔의 축구를 구사하기란 세계적인 명장에게도 쉽지 않은 일이다.

홍 감독 역시 대표팀 감독을 고사했다는 얘기가 전해지면서 최강희 감독에 이어 억지춘향식 감독을 또다시 봐서는 안된다는 여론도 조성됐다.

유명 축구칼럼리스트 존 듀어든은 자신의 칼럼에서 “‘올바른 선택’은 홍명보로 보인다. 홍명보의 조건과 배경은 완벽할 정도다”면서도 “홍명보 감독의 마음에 달린 일이다. 홍 감독이 대표팀을 거절해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며 “홍명보 감독이 자리를 원하지 않을 때 대한축구협회가 밀어붙이는 일이 나와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이번 2014년 월드컵에서 시작해 2018년 월드컵까지 장기계약을 체결해 홍 감독에게 대표팀을 잘 육성할 시간을 주자는 주장도 제기됐으나 축구협회와 홍 감독 간의 계약은 2년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2014년 브라질월드컵에 이어 2015년 호주에서 열리는 아시안컵까지 홍 감독이 대표팀을 이끈다는 의미다.

최종예선에서 좋지 않은 경기력을 보인데다 파벌 다툼이 있다는 루머까지 흘러나오면서 축구 국가대표팀의 상황은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홍 감독의 오랜 국가대표 경험과 풍부한 감독 경험이 빛을 발해야 할 시점이다.

홍 감독의 국가대표 A매치 대표팀 감독 데뷔가 예상되는 오는 7월 동아시안컵이 벌써부터 주목받는 이유다.

한경닷컴 뉴스팀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