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구대 암각화, 투명 차단막 만들어 보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카이네틱댐' 설치 합의
문화재청은 다소 못마땅
문화재청은 다소 못마땅
국보 285호 반구대 암각화 보존 방안을 놓고 10년 넘게 갈등을 빚어온 문화재청과 울산시가 일종의 투명한 차단막인 ‘카이네틱댐’을 암각화 전면에 설치해 물과의 접촉을 막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조경규 국무조정실 사회조정실장은 1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문화재청과 울산시가 국무조정실의 중재로 이 같은 합의를 도출했다”며 “즉시 지반조사 등 기술적인 조사에 착수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이번 방안은 암각화 주변에 생태 제방을 쌓자는 그동안의 울산시 주장과 비슷한 데다 ‘항구적인 대책은 아니다’는 게 문화재청 입장이어서 임시방편이라는 지적이 많다.
카이네틱댐은 내구성이 강화유리의 150배 이상인 합성 플라스틱 폴리카보네이트로 만들어진 구조물로, 수위 변화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지반조사, 구조안전성 평가, 사전 테스트 등 3개월간 기술적인 검토를 거쳐 타당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설치작업에 들어가게 된다. 조 실장은 “이름은 댐이지만 토목 공사가 필요치 않고 해체와 설치가 용이한 구조물로 국내에서는 처음 추진되지만 외국에서는 문화재 보호 용도로 설치된 경우가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문화재청은 이번 합의에 대해 마뜩잖아하는 눈치다. 반구대 암각화는 1971년 발견됐지만 1965년 완공된 사연댐 때문에 연간 6~8개월은 물에 잠겨 있어 빠르게 훼손되고 있다. 문화재청은 암각화 80m 앞에 생태제방을 쌓아 물을 차단하자는 울산시의 주장에 대해 경관 보존 등을 이유로 반대해온 데다 사연댐의 수위를 낮춰 항구적으로 보존해야 한다는 강경한 입장이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이번 합의에 대해 “확실히 카이네틱댐을 설치한다는 결론이 난 건 아니지 않으냐”며 “타당성을 조사해보겠다는 것까지 반대하기에는 여러 가지로 부담스러웠다”고 말했다. 문화재청은 댐 설치가 본질적인 방법일 수 없다는 입장으로, 일단 물을 차단해 암각화를 보존하고 난 뒤 항구적인 보호 대책을 계속 협의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문화재청 산하 문화재위원회에서 댐 설치를 반대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 문화재위원회는 문화재 주변의 현상 변경 등 문화재 관련 주요 안건을 조사·심의하는 자문기구로, 문화재청장에게 조사 결과를 보고한다. 변영섭 문화재청장 취임 이후 반구대 암각화 보존 운동을 했던 인사들이 문화재 위원회 위원회에 들어온 것도 댐 설치 반대 가능성이 높은 이유다.
댐 건설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에 악재가 될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반구대 암각화는 현재 세계문화유산 등재 준비단계인 잠정목록에 올라 있다. 문화재청은 그동안 “생태제방 등 구조물 설치는 세계문화유산 등재에 악영향을 준다”며 “수위를 낮춰 암각화를 항구적으로 보존하는 것이 최선”이라는 입장이었다.
■ 반구대 암각화
울산 울주군 언양읍 대곡리의 대곡천 중류 암벽에 있는 암각화. 반구대는 거북이가 넙죽 엎드린 모양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신석기~청동기 시대 전후의 것으로 고래 호랑이 사슴 등 동물 24종 300여점의 그림이 새겨져 있다.
박한신 기자 hanshin@hankyung.com
카이네틱댐은 내구성이 강화유리의 150배 이상인 합성 플라스틱 폴리카보네이트로 만들어진 구조물로, 수위 변화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지반조사, 구조안전성 평가, 사전 테스트 등 3개월간 기술적인 검토를 거쳐 타당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설치작업에 들어가게 된다. 조 실장은 “이름은 댐이지만 토목 공사가 필요치 않고 해체와 설치가 용이한 구조물로 국내에서는 처음 추진되지만 외국에서는 문화재 보호 용도로 설치된 경우가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문화재청은 이번 합의에 대해 마뜩잖아하는 눈치다. 반구대 암각화는 1971년 발견됐지만 1965년 완공된 사연댐 때문에 연간 6~8개월은 물에 잠겨 있어 빠르게 훼손되고 있다. 문화재청은 암각화 80m 앞에 생태제방을 쌓아 물을 차단하자는 울산시의 주장에 대해 경관 보존 등을 이유로 반대해온 데다 사연댐의 수위를 낮춰 항구적으로 보존해야 한다는 강경한 입장이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이번 합의에 대해 “확실히 카이네틱댐을 설치한다는 결론이 난 건 아니지 않으냐”며 “타당성을 조사해보겠다는 것까지 반대하기에는 여러 가지로 부담스러웠다”고 말했다. 문화재청은 댐 설치가 본질적인 방법일 수 없다는 입장으로, 일단 물을 차단해 암각화를 보존하고 난 뒤 항구적인 보호 대책을 계속 협의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문화재청 산하 문화재위원회에서 댐 설치를 반대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 문화재위원회는 문화재 주변의 현상 변경 등 문화재 관련 주요 안건을 조사·심의하는 자문기구로, 문화재청장에게 조사 결과를 보고한다. 변영섭 문화재청장 취임 이후 반구대 암각화 보존 운동을 했던 인사들이 문화재 위원회 위원회에 들어온 것도 댐 설치 반대 가능성이 높은 이유다.
댐 건설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에 악재가 될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반구대 암각화는 현재 세계문화유산 등재 준비단계인 잠정목록에 올라 있다. 문화재청은 그동안 “생태제방 등 구조물 설치는 세계문화유산 등재에 악영향을 준다”며 “수위를 낮춰 암각화를 항구적으로 보존하는 것이 최선”이라는 입장이었다.
■ 반구대 암각화
울산 울주군 언양읍 대곡리의 대곡천 중류 암벽에 있는 암각화. 반구대는 거북이가 넙죽 엎드린 모양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신석기~청동기 시대 전후의 것으로 고래 호랑이 사슴 등 동물 24종 300여점의 그림이 새겨져 있다.
박한신 기자 hansh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