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기업 국가·사회공헌 콘퍼런스 > ‘2013 한국기업 국가 사회공헌도 평가 콘퍼런스’가 13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렸다. 강성원 한국공인회계사회 회장(오른쪽부터), 서진석 한국상장회사협의회 상근부회장, 임석식 한국회계기준원 원장, 이종천 숭실대 교수(한국기업공헌평가원 이사장) 등이 박수 치고 있다. /신경훈 기자 nicerpeter@hankyung.com
< 한국기업 국가·사회공헌 콘퍼런스 > ‘2013 한국기업 국가 사회공헌도 평가 콘퍼런스’가 13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렸다. 강성원 한국공인회계사회 회장(오른쪽부터), 서진석 한국상장회사협의회 상근부회장, 임석식 한국회계기준원 원장, 이종천 숭실대 교수(한국기업공헌평가원 이사장) 등이 박수 치고 있다. /신경훈 기자 nicerpeter@hankyung.com
한국의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진 2008년 -0.8%로 뒷걸음질쳤다가 이듬해 1.6%로 소폭 올랐다. 하지만 이후 2년 연속 0.8%와 0.3%에 머물며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지 못했다.

또 기업들의 사업보고서를 활용한 실증분석 결과 급여와 생산성의 연결 고리는 상당히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기업 실적보다는 노동조합과의 대결 구도, 양극화 심화에 대한 불만 고조 등이 급여 산정에 작용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한국기업 국가·사회공헌도] 복지 열풍…강성 노조…기업들 합리적 임금 결정 못했다

○생산성과 따로 노는 급여

한국기업공헌평가원과 한국공인회계사회는1800여개 상장기업을 업종별로 나눈 뒤 2001년부터 12년간 1인당 매출과 급여 변화를 분석했다. 3개월에 걸쳐 사업·영업·감사보고서(개별기업 기준)를 일일이 전수조사했다. 이 같은 실증분석 결과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생산성이 임금 결정에 미치는 정도가 크게 약해졌다는 점이 드러났다.

가령 자동차 업종은 2007년 이전까지 1인당 매출과 급여의 탄력성 지수가 0.63으로 나왔다. 이 수치가 플러스(+)면 매출과 급여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는 뜻이다. 하지만 2008년 이후 5년 평균은 -0.89로 계산됐다.

이종천 한국기업공헌평가원 이사장(숭실대 교수)은 “생산성 개선보다 임금 상승 속도가 더 빨랐다는 뜻”이라며 “반기업 정서 확산과 동반성장에 대한 부담, 양극화 해소 요구, 강성 노조 등의 영향으로 기업이 합리적인 선택을 하지 못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기업이 급여 이외의 형태로 각종 복리후생비를 늘린 것도 생산성과 급여의 상관관계를 떨어뜨린 요인이라는 추론도 나왔다.

○성장이 일자리 창출의 원천

이번 조사는 매출 증가와 고용 확대가 밀접하게 연결돼 있음을 보여줬다. 효과는 30대 산업보다 국내 경제의 핵심인 10대 산업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금융위기 이전에 매출이 100억원 늘어날 때마다 1.4명의 일자리를 만들었던 10대 업종은 2008년 이후엔 6.2명씩 새로 고용했다. 30대 산업은 금융위기 이후 매출 100억원당 5.3명을 채용했다.

이상규 경희대 교수는 “전자, 자동차, 유통, 금속, 화학 등 매출 규모가 큰 업종이 고용 창출 효과도 컸다”며 “기업의 성장 없이는 고용도 불가능하다는 것이 이번 조사에서 확인됐다”고 강조했다.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선 대기업의 매출이 계속 증가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게 됐다.

주목되는 또 다른 조사 결과는 연구개발(R&D) 투자가 설비투자보다 매출 확대와 일자리 창출에 더 많이 기여했다는 것이다. 1억원을 R&D에 투자했을 때 매출은 15억원 증가한 반면, 설비투자에 쓰면 매출 증가분은 4억원에 못 미쳤다. 고용 역시 R&D에 1억원을 쓰면 1.28명 늘었지만 설비투자는 0.35명에 그쳤다. 이상규 교수는 “R&D 투자를 지속적으로 늘려 제2의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 같은 기업이 나와야 한다”며 “창조경제를 추진 중인 정부도 정책 수립에 이번 조사 결과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박해영 기자 bon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