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는 식중독, 도심 침수, 층간 소음 등 해결이 필요하지만 관련 기술 미비로 매년 반복되는 사회 이슈 3개를 선정, 올해 총 100억원 규모의 ‘사회이슈 해결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시범사업 추진 결과를 토대로 과제당 100억원 규모로 내년 4개, 2015년 3개의 사업을 추가로 추진한다.

오대현 미래부 원천연구과장은 “국민 제안과 설문조사 등을 통해 이슈를 모아 6월 중순에 사회문제 후보 50개 내외를 선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미래부는 3일부터 20일까지 연구재단 ‘기획마루(plan.nrf.re.kr)’를 통해 국민 제안을 받기로 했다.

사회 이슈 해결 사업의 대표적 예로 거론되는 것이 식중독이다. 최근 식생활 변화로 겨울철에도 노로 바이러스 등에 의한 식중독 사고가 급격히 증가해 매년 1조3000억원의 사회·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는 실정이다. 식중독 사고를 예방하려면 음식물 오염 여부를 사전에 신속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현재 식중독 유해물질 검출 기술로는 오염 여부 판정에 3~5일이 걸려 음식물 섭취 전에 오염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쉽지 않다.

임원기 기자 wonk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