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은 20일 국가정보원의 대선개입 의혹 사건의 수사에 '경찰 윗선'이 개입했다는 경찰 내부 폭로가 나온 것을 계기로 경찰과 국정원에 대한 공세 수위를 높였다.

민주당은 이번 사건에 대한 경찰 수사가 마무리되고 검찰로 공이 넘어감에 따라 경찰 수사 대상에서 빠졌던 원세훈 전 국정원장,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에 대한 철저한 수사를 통해 진상을 규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민주당은 당 '원세훈게이트 진상조사위' 차원의 대응은 물론 국회 안전행정위원회와 정보위원회, 국회 본회의 대정부질문 등에서 이 문제를 집중적으로 따질 방침이다.

민주당은 청문회 개최와 국정조사 실시까지 주장하며 공세의 고삐를 바짝 죄었다.

김현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민주당은 지난해 12월 16일 경찰의 중간수사 발표가 정치경찰에 의한 중대한 범죄행위이며 경찰수사가 크게 잘못됐다고 지적해왔다"며 "그간 제기한 의혹이 사실로 드러난 데 대해 깊은 충격과 분노를 느낀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사건은 이제 국정원 대선 개입 사건이 아니라 국정원과 경찰 등 두 국가권력기관이 합작한 중대한 국기문란 사건"이라고 규정했다.

김 대변인은 "새로 취임한 이성한 경찰청장은 (경찰 윗선 개입 의혹을 제기한) 권은희 전 수서경찰서 수사과장의 양심선언에 대한 진실을 밝혀야 한다"며 "김기용 전 경찰청장과 김용판 전 서울청장, 경찰 고위 간부들의 행동이 과연 독자적인 판단이었는지도 수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민주당은 이와 관련, 소관 상임위인 안행위 및 정보위를 열어 이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룰 것을 여당 측에 요구했다.

국정원 사건에 대한 경찰 윗선의 수사 축소 지시 주장이 제기되면서 당내 일각에서는 경찰의 수사권 독립 문제까지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안행위 민주당 간사인 이찬열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경찰이 이런 식으로 수사해서 어떻게 수사권 독립을 이야기할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정성호 대변인은 "경찰이 수사권 독립을 원한다면 이번에 정권의 눈치를 보지 않고 어떤 상황에서도 공정하게 수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유미 임형섭 기자 gatsby@yna.co.krhysup@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