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은·정책금융공사 통합 가능성 언급
미등록 대부업체도 행복기금 협약가입 독려

산업은행 민영화가 힘들어질 전망이다.

오히려 산업은행이 정책금융공사와 통합하는 방안이 고려될 전망이다.

미등록 대부업체 이용자의 행복기금 채무조정 적용도 추진된다.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16일 국회 정무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산업은행 민영화 방안이 폐기된 것이냐는 유일호 새누리당 의원의 질문에 "현재로서 민영화는 어렵다고 본다"며 "다만 기업공개(IPO) 가능성은 조금 열어둘 수 있다"고 밝혔다.

신 위원장은 "정부가 대주주로 하고 IPO를 할 수도 있다"며 "정책금융개편의 큰 그림이 나와야 정확한 방안이 만들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홍기택 산은지주 회장은 산은 민영화에 대한 견해가 달라진 것이 아니냐는 김재경 새누리당 의원 지적에 "달라진 금융환경 속에서 민영화를 추진하는 게 성공할 수 있을까 회의가 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부실화하는 기업이 생기면서 이런 부분을 받쳐줄 금융기관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밝혀 국책은행으로서의 산은의 역할을 강조했다.

신 위원장은 김영주 민주통합당 의원이 정책금융공사의 기능을 산업은행으로 다시 통합하는 것에 대해 질문하자 "여러가지 대안 중 하나로 본다"고 말했다.

신 위원장은 이어 "지난 정부에서 (산은과 정책금융공사의 기능 관련) 큰 그림을 그릴 때는 금융위기가 없었다"며 "하지만 상황이 변하며 정책금융의 역할도 변했다"고 말했다.

산은과 정책금융공사를 합쳐 정책금융기관의 역할을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의지를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신 위원장은 이어 정책금융공사 등 복잡한 공공정책기관을 어떤 식으로 정리할 것이냐는 질문에 "복잡한 체계를 단순화하려고 한다"면서 "안되면 (금융위원장직을) 그만두겠다"고 말해 정책금융기관 재편에 대한 강한 의지를 나타냈다.

우리금융 민영화에 대해선 메가뱅크 방식이 좋을 수 있다는 입장을 보였다.

그는 "메가뱅크 방식에 대해 여러 의견이 존재하며 큰 은행과 작은 은행의 생태계를 가져가는 것이 좋다는 의견도 있다"면서 "메가뱅크를 고집하겠다는 것은 아니고 분할매각이나 여러 가능성이 열려있으며, 6월말까지 보고하겠다"고 전했다.

다만, 선박금융공사 설립에는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였다.

신 위원장은 "조선과 해운업에 대한 금융지원이 장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측면에서 선박금융공사나 해양금융공사는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선박금융공사 설립은) 통상 마찰 소지가 있고 기존 수출입은행과 산업은행, 정책금융공사, 무역금융공사 업무를 한 곳으로 모아야 하는 문제가 있다"며 "그냥 만들었다가 나중에 더 큰 문제가 되면 안 만드는 것만 못할 수 있다"고 말했다.

국민행복기금과 협약을 맺지 않은 미등록 대부업체에 빚이 있는 다중채무자도 행복기금의 혜택을 볼 수 있도록 할 방침임을 시사했다.

신 위원장은 "행복기금 협약을 맺지 않은 대부업체도 찾아가 채무 조정에 참여하도록 독려할 것"이라며 "협약을 맺은 4천여개 업체를 제외한 대부업체에 빚이 있는 다중채무자 경우 미등록 대부업체에 협조를 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등기 임원만으로도 충분히 효과가 있기 때문에 미등기 임원의 개별 연봉 공개에는 반대한다"면서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의 보유 주식 매각에 대해선 "공매도 관련 제도 개선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신 위원장은 보험사들이 기부금을 과징금 처리하고 경영자 과실 과징금을 영업외비용을 처리하는 관행에 대해 "가려내는 일이 복잡하지만 앞으로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하겠다"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심재훈 고유선 기자 president21@yna.co.kr cindy@yna.co.kr